투신권이 서울보증이 요구하고 있는 서울보증채 원리금 탕감액은 수용할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하면서 서울보증이 보증한 발행기업에 대한 가압류 소송을 추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최근 열린 투신사 사장단 회의에서는 서울보증이 요구하는 원리금 탕감에 대해 서울보증 발행기업 중 오리온전기에 대한 가압류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보증 감액안을 수용한 한빛은행에게는 우선적으로 공적자금을 대지급하고 있어 채권단간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6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보증채 원리금 지급을 둘러싸고 마찰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투신사들이 서울보증이 보증한 일부 발행기업을 대상으로 가압류 소송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신권은 발행기업에 대한 가압류를 우선적으로 실시하되 그래도 서울보증이 대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서울보증에 대한 가압류 조치를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가압류 대상채권은 발행기업이 개설한 은행의 예금계좌이며 우선적으로 한투 삼성 서울투신 등 6개사가 신탁재산(472억)으로 보유중인 오리온전기 원리금에 대해 가압류를 실시할 방침이다.
관련 소송 비용은 투신사가 보유중인 대우계열, 일반 워크아웃, 부도 기업의 총 채권원금액에 비례해 안분 부담하기로 했다.
투신권이 이처럼 서울보증 발행기업에 대해 가압류 소송에 들어가기로 한 것은 지난 18일 서울보증이 요구한 감액안을 수용한 한빛은행에 우선적으로 원리금을 대지급하면서 채권단간 대지급 우선 순위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투신사 관계자는 “서울보증이 보증한 대우계열 기업중 회생기미가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가압류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투신권은 지난번 재경부가 제시한 손실보전을 위해 쌍용양회CB(2500억) 제공 및 잔액 출자전환 제시는 현실성이 없는 방안이라고 보고 서울보증의 회계법인 실사보고서에 대한 재검토와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바 있다.
투신사는 또 서울보증이 보유하고 있는 구상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발행안도 구상채권으로부터 발생할 현금흐름을 감안한 이후의 현금부족분을 투신에 감액 요구하고 있어 이 자산이 서울보증에서 빠지게 되면 또 다른 현금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