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의 부가서비스료 현실화 작업이 수포로 돌아갔다.
지난 6월부터 은행들이 잇따라 증권계좌개설 및 부가서비스 수수료를 인상함에 따라 증권사들은 공동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공조체제를 유지해왔지만 최근 일부 증권사가 은행들의 수수료 인상요구를 100% 수용함에 따라 이마저도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부 증권사는 그동안 지점 실태조사를 통해 준비해오던 부가서비스료 현실화 작업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지난친 시장경쟁으로 주요 수익원인 위탁매매 수수료가 왜곡된 상태에서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부가서비스마저 현실화하지 못할 경우 향후 증권사들의 수익이 크게 위축될 수 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정부가 추진중인 금융SW개혁에 따라 은행권이 오는 9월부터 서비스 수수료를 대폭 인상할 경우 증권사와의 연계서비스도 추가 인상될 수도 있어 계좌개설 및 부가서비스 수수료에 대한 제도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은행권을 중심으로 고객서비스 수수료에 대한 현실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증권업계는 특별한 대책방안을 찾지 못해 고심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은행들의 증권계좌개설 및 부가서비스 수수료 인상 이후 증권사들이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몇차례 논의를 진행했지만 일부 증권사가 은행들의 인상요구를 수용함에 따라 무산됐다”며 “수수료 인상으로 인한 비용부담에는 모두 공감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대책방안이 없어 고민”이라고 밝혔다.
대부분의 금융서비스를 은행과의 연계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증권사들의 경우 은행 및 타금융권의 서비스보다 수수료 체계가 더욱 왜곡된 상태이다.
실제로 증권사들의 부가서비스는 은행과 비교해 거의 무료에 가까운 실정이다.
일부 온라인 증권사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금액과 상관없이 송금 이체 등의 부가서비스를 소액의 기본 수수료 또는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은행에 수수료를 대납해주고 있다.
또한 계좌개설의 경우도 지점 및 은행고객에 상관없이 수수료를 면제해주고 있으며 은행연계계좌의 경우 5000원에서 1만5000원까지 계좌개설 수수료를 증권사가 대납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증권사들이 수수료 인상에 적극적이지 못한 것은 경쟁체제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기도 하지만 서비스 자체가 은행서비스와는 달리 수동적이라는 것이 큰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증권사들의 과다한 경쟁으로 인해 애초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했던 것도 원인이다.
이는 증권사들의 왜곡된 거래수수료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증권사가 공동으로 대처하기 전까지는 수수료 현실화 작업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국내 금융망이 일원화되거나 업계가 공동으로 또는 당국이 나서서 수수료 체계를 바로잡아 주기전까지는 이 같은 수수료 문제는 해결되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