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성균관대교수는 14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주최한 `부실채권시장과 효율적 정리방안`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추정한 뒤 “경제규모에 비해 부실채권 규모가 엄청나고 처리실적은 극히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김교수는 동아시아 국가의 부실채권 규모는 한국이 150조원, 일본이 100조엔, 중국이 5000억달러, 태국이 730억달러, 말레이시아가 300억달러, 인도네시아가 900억달러 등인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부실채권의 매각실적이 87%에 달하는 반면 한국과 일본은 각각 55%와 14%이며 나머지 아시아국가들은 10%에 못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이들 국가는 선진국과 달리 부실채권시장을 형성하기 위한 법과 제도적 인프라가 미흡해 정부가 주도하는 공적처리기구 중심의 시장형태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김교수는 설명했다.
김교수는 부실채권시장의 경우 금융.외환위기로 인한 부실채권 발생, 공적 부실정리기구를 통한 부실채권 인수, 자산유동화및 CRV(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를 통한 부실채권매각, 전문화.특화된 부실채권시장 형성 등 4단계의 발전단계를 거치는데 대부분의 동아시아국가는 현재 2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들중 한국은 그나마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잘 정비돼 있어 이들보다 한단계 앞선 3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김교수는 평가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