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1일 “금융기관들이 현재의 경영에 안주, 자리보전과 제몫 챙기기에만 급급하고 있다”며 “도덕적 해이를 근원적으로 척결해 자금시장 안정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 달라”고 촉구했다.
진 부총리는 또 “하드웨어 측면의 구조조정은 상당부분 진행된 만큼 앞으로 금융기관들은 내부 조직과 문화를 개혁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진 부총리는 이날 성남시 분당구 삼성생명 휴먼센터에서 열린 ‘금융기관 최고경영자 연찬회’에 참석, 이같이 밝히고 “공적기구를 활용하는 정부의 자금시장 안정방안은 단기간에 그쳐야 하며 앞으로는 전적으로 금융기관의 힘과 역할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현대전자에 대한 씨티은행의 신디케이트론 제공을 예로 들며 “국내 금융기관들이 외국 금융기관보다 앞서서 제대로 대응했어야 한다”며 국내 금융기관들의 소극적인 행태를 질타했다.
한편 이근영 금감위원장도 이날 연찬회에서 “은행등 금융회사들이 수신금리를 내리기 시작했지만 아직도 역마진 상태에 있다”며 “수익성에 초점을 맞춰 수신금리를 인하하면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은행의 기업여신에 대한 위험부담도 현저히 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미 시간이 오래 지났지만 마지막으로 최선이 안된다면 더 늦기 전에 차선책을 과감하게 선택하는 지혜와 용기를 발휘해 달다”며 은행 등 금융사간 합병을 주문했다.
연찬회에 참석한 김병주닫기

또 “불건전 자산이 객관적으로 평가되고 활발하게 거래돼야 금융산업과 실물경제 전반의 리스크가 축소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을 선거의 전리품 획득수단으로 착각하는 일부 정치세력의 무모한 시도를 좌절시킬 수 있는 근원적인 힘은 시장원리”라며 “시장의 객관적인 판정에 다수가 승복하는 여건이 조정되어야 시장의 힘이 막힘없이 작용, 구태를 청산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승유 하나은행장은 “합병은 규모의 경제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반면, 합병 주체간 기업문화 차이가 클 경우 합병에 따른 비용이 더 커질 수 있다”며 양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부족한 국내 현실을 감안할 때 현실적적으로 합병에 따른 범위의 경제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