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금감위원장은 8일 오전 신라호텔에서 열린 경영자총협회 주최 최고경영자 연찬회에 참석해 `기업 구조조정의 향후 방향`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기업들은 다각 화된 사업부문을 전문화하고 핵심역량을 강화, 수익성을 높여야 살아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금감위원장은 또한 "우리 경제가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의 외환위기를 겪은 근본적 원인은 실물 기업부문이 국제경쟁력을 상실한 데 있다"며 "안정적인 캐시플 로우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금감위원장은 "정부는 앞으로 공시제도를 개선하고 사외이사의 책임과 권한 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 M&A를 활성화하는 등 소프트웨어 차원의 구조개혁에 역점을 둘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 금감위원장은 "집중투표제를 보완하고 집단소송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투명한 기업 경영을 통해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히고 "기업이 외부에 공표하는 재무제표에 대해 해당 기업이나 기업의 경영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풍토가 조성돼야 기업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높 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이 "미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구조조정을 단행, 일시적으로 적자를 내는 기업에 대해 신용평가기관이 평가등급을 하향하는 바람에 구조조정에 적극 나설 수 없다"며 이에 대한 정부 입장을 묻자 "그런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금융감독원을 통해 신용평가기관에 시정을 요구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이 금감위원장은 "올 해 65조원 어치의 회사채가 만기 도래하는데 제대로 차환이 되지 않으면 위기가 올 수 있다"며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등은 바로 이러한 위기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