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진 부총리는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은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 5개월간의 2기 경제팀을 돌이켜 보면 여러가지 미흡한 점과 아쉬움이 있다"며 "다시 이 일을 맡긴 것은 개혁을 착실히 마무리, 시장 시스템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실현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정책의 기본방향은 달라질 수도 달라져서도 안될 것"이라며 "2월말까지 시장 시스템과 기본틀을 확립하고, 경기활성화 대책을 알뜰하게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진 부총리는 그러나 "지난 3년간 과거와 현재의 문제에 매달려 너무 많은 에너지와 자원을 소모해왔다"며 "지금은 현재와 미래를 위해 에너지를 투입해야 할 시점인 만큼 정책의 무게 중심은 미래로 옮겨가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최소한 2~3년의 시간표를 가지고 정책을 펴나가겠다"고 말하고 "특히 재정과 금융정책은 최소한 3년을 바라보며 정책을 쓰겠다"고 강조했다.
기업 상시퇴출 기준과 관련, 진 부총리는 "개별 기업에 대해 각 금융기관의 인식이 모두 갖지는 않으며, 정부가 세세한 부분까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말하고 "기업들에 대해서는 `자구하지 않으면 퇴출된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하면서 개별적인 것은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판단하도록 기본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최근들어 자금시장이 호전되는 등 상황이 나아지고 있지만 경제는 여전히 어렵다"면서 "이번 어려움을 계기로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경제주체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진 부총리는 "정치나 노사문제, 부처간 문제 등 소모적 내부문제에 얽매이면 되풀이할 수 없는 후회를 하게 될 것"이라며 "급변하는 대내외 정세에 대응, 온 국민의 힘을 모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