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은행과 주택은행의 총수신 규모는 지난 7일 기준으로 각각 51조8101억원, 50조6217억원으로 1조원 정도밖에 차이가 나질 않는다. 주택은행의 수신고 증가 속도를 감안하면 순위 바뀜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해 말 말잔기준 자산규모에서 국민은행에 1위 자리를 내주었던 한빛은행은 지난 6월말 평잔기준 자산규모에서도 1위를 내줘 은행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위축되고 있는 모습을 확연히 드러냈다.
한빛은행의 자산규모는 지난해 말 83조2000억원(평잔기준)에서 올 6월말 79조2000억원으로 4조원이나 감소한 반면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82조5000억원(평잔기준)에서 6월말 3조8000억원이나 증가한 86조3000억원에 달해 두 은행의 자산규모 차이는 7조원으로 벌어졌다.
상반기 당기순이익에서도 국민 주택은행이 2287억원, 3752억원의 순익을 낸 반면 한빛은행은 잠재부실을 100%반영할 경우 710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또 외환은행도 잠재부실을 모두 반영할 경우 상반기 2541억원의 적자를 내는 등 실적이 좋지 않았으며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는 현대건설의 주채권 은행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다행히 기업금융 은행중 조흥은행만이 지난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고 올들어 아남반도체 등 워크아웃 기업들의 회생으로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528억원을 기록, 기업금융전담은행의 명맥을 지켰지만 소매금융시장에 오히려 눈독을 들이는 분위기여서 국내 기업금융전담 은행은 씨가 마를 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계 관계자들은 “우량이니 부실이니 하는 구분과 수신고 등에서의 순위경쟁은 이제 무의미하다”며 “특화된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은행이 나와야 하고 특히 기업금융 전문 은행이 발전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경제의 미래는 없다”고 지적했다. 기업금융을 취급하는데 따른 우리 경제 전체에 대한 파급효과는 개인 상대의 영업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
한 관계자는 “소매금융 전문은행들이 지금까지 부실이 상대적으로 작아 이익을 많이 내고 있지만 앞으로는 새로운 수익을 낼 수 있는 시장이 거의 없다”며 “기업금융 은행을 살리지 않으면 우리경제에 미래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