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계에 따르면 농협은 지난 1일 통합농협이 출범함에 따라 축협의 자산 부채 실사를 벌여 5800억원에 달하는 부실을 밝혀내고 농림부에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하는 등 방안을 모색해왔으나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농협과 농림부 농업정책국은 축산진흥기금 등으로 손실금을 보전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정부 부처간에 의견조율이 안돼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은 궁여지책으로 최근 구 축협 지역조합에 수천억원의 손실금을 부담시켰으나 축협 조합이 반발하는 등 내부 홍역을 앓고 있다.
농협 인수위는 5800억원의 손실금 중 축협중앙회와 회원조합간 상호금융 특별회계 손실인 2645억원을 회원축협 신용사업 실적에 따라 부담액을 책정, 자체 손실 처리하도록 했는데 이것이 화근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국의 구 축협 회원조합들이 적게는 수억원에서 많게는 100억여원을 부담해야 할 판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구 축협 회원조합들은 농협중앙회의 고정자산을 처분하던가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손실금을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감사원 농림부 등 정부당국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집단행동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쉽게 진정되지 않을 전망이다.
농협 관계자는 “상호금융 특별회계에서 자본잠식 상태가 되면 회원조합이 부담해야 하는 것은 원칙”이라며 “현재 손실금 보전을 위해 대책반을 꾸려 정부에 자금지원을 요청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어 회원조합에 큰 부담이 안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