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계에 따르면 IMF이후 구조조정을 진행해온 쌍용그룹 계열사들이 평균 90%에 달하는 당좌대출 한도를 소진해 왔다. 또한 쌍용양회가 계열사를 담보로 조흥은행으로부터 차입한 금액은 약 320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흥은행 관계자는 "90%의 당좌한도 소진율은 지난 2년간 쌍용이 평균적으로 사용했던 비율"이라며 "쌍용차 및 부동산 매각 등으로 꾸준히 유동성 압박에 대비해 온 상태라 일부에서 나도는 부도설은 터무니 없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근거없는 악성루머가 시장에 파다해 기업들의 자금난이 확대ㆍ왜곡된다"고 지적한 뒤 "최근의 자금경색 문제는 쌍용뿐 아니라 모든 국내기업이 겪는 공통되고 구조적인 문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개별 기업의 자금난 가중 원인이 반드시 루머 때문만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쌍용이 만기도래분 CP를 제2금융권에서 롤오버 시키고 있지만, 연장기간은 1주일 단위의 초단기"라며 기업 자금조달 경로와 CP시장의 위축에 원인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쌍용그룹 관계자는 “만기도래 CP상환분은 매일 5~10억원 정도에 불과하다”며 “시멘트 판매등으로 들어오는 하루 어음 입금액 15억원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올해 4000억원의 만기도래 회사채도 전환사채나 차환사채 발행을 통해 충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쌍용양회는 지난해 결산시 대우그룹에 쌍용자동차를 매각하면서 떠안은 채무를 일시에 상각하며 9501억원의 특별손실이 발생했고, 당시 삼일회계법인이 쌍용양회에 ‘한정’ 의견을 낸 바 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