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중소기업청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벤처기업으로 지정 받거나 설립된 업체가 1700개를 넘어섰고 이중 서울 경기 등 수도권지역에만 1300여개의 업체가 집중돼 올해의 신생 벤처기업 중 70% 가까이 육박한 상태이다.
여기에 대전의 벤처단지(149개사)를 포함하면 80%까지 이르러 지역편중이 위험수위에 이르렀다는 지적이다.
지방에서 인터넷 리눅스관련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사장은 “인적네트워크와 정보공유등의 불이익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정부지원금이나 창투사들의 자금지원시 지방기업이 갖는 불이익이 존재한다”고 토로한다.
즉 높은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서울에 자리를 잡고 있는 벤처기업은 심사과정에서 접근의 편의성 등 여러 장점을 누리고 있다.
업계전문가들은 벤처산업은 고급인력 및 기반시설 등 고도의 인프라를 갖춰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학 등 관련기관들과도 연계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해당지역을 함께 발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교육여건 및 모든 제반시설들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벤처기업의 편중이라는 문제를 하루아침에 해결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벤처캐피털 업계에서는 특별히 지방 벤처기업이라고 해서 불이익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관련 인프라등을 감안할 때 당연한 시장원리에 따른 것이라 설명한다.
즉 대전의 대덕벤처밸리만 보더라도 고급인력의 공급과 관련 인프라가 갖춰진다면 얼마든지 지방업체들도 핸디캡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정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재정자금의 지방중소기업 지원 등 대책마련을 준비 중”이라며 “이를 위해 각 지역 관련단체와 협의를 벌여 올해 안에 20개 정도의 벤처촉진지구를 개발·분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러한 단기적인 방안외에 장기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태파악에도 들어간 상태”라고 덧붙였다.
송정훈 기자 jh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