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작업은 축협이 계속 반대해 계획된 일정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농협은 일단 중앙회건물에 축협직원 배치를 위해 지난 4월말부터 자금부 등 일부 부서를 인근 건물로 이동시켰으나 축협이 전혀 참여하지 않아 사무실 공간만 비어둔 상태다.
통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전산통합도 손을 못대 7월 이후 상당기간 각 점포에서의 영업이 이원화될 전망이다.
농협 관계자는 “축협의 통합작업 불참으로 전산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일단 축협 점포에 농협 단말기를 투입해 업무를 처리할 예정”이라며 나름대로 별도의 자구책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은행간 합병설이 계속 나오는 등 금융대형화 겸업화시대를 준비해야 하는데 통합문제 때문에 대응을 제대로 못해 뒤쳐지지 않나 하는 불안감이 내부적으로 팽배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농협은 헌법재판소의 통합 위헌여부 결정이 나면 강제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통합작업을 진행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헌재의 결정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또한 직원들은 축협의 인력정리가 당초 약속한 24%에 크게 못미치는 10%에 그쳐 통합이후 인력 감축 과정에서 농협 직원들이 피해를 보지 않을까도 걱정하고 있다.
통합농협 초대회장으로 선출된 정대근회장도 통합의 시너지효과가 날 수 있도록 유사중복조직은 통폐합하고 인원을 정리하겠다고 밝혀 통합전에 명퇴 등 인원감축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명퇴로 인원을 조기 정리해 통합 후 새로운 인물로 조직을 꾸려나가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이건호 총무부장은 “1~3급 고위직 중심의 명퇴설이 있지만 두달도 안남은 통합일정상 시간적 여유가 없다”며 일단 부인했다.
한편 헌재의 통합 위헌여부 결정은 오는 25일 나올 예정이어서 통합작업은 그 이후에나 가시화될 전망이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