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업계에 따르면 기획예산처는 신규 정부지원 920억원, 지난해 융자를 통해 지원키로 한 415억원을 국가 보조로 전환하는 등 통합비용으로 총 1335억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예산을 편성해 6월 개헌국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농협은 그동안 통합비용으로 전산통합, CI작업등 1500억원 이상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관계부처와 협의를 해왔으나 공적자금 고갈 등의 이유로 난항을 겪었다.
이에 따라 농협은 자구계획으로 시가 3000억원대의 양재동 농산물 유통센터 건물과 강원 충남 등 각 지방 연수원의 조기 매각을 추진해왔으나 부동산시장 침체로 양재동 유통센터 건물의 경우 정부가 매입해줄 것을 요청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한편 농협 일각에서는 1335억원이라는 예산이 지원될 예정임에도 회의적인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1335억원 전체가 국고로 지원될 지는 국회가 열려야 결정되는 사항이고 내년 예산에 반영되는 만큼 지원시기도 빨라야 내년 초라는 지적이다.
또한 농협측은 통합이후 축협의 부실한 단위조합의 자본잠식액 손실보전도 요구하고 있어 앞으로 통합비용을 놓고 관계부처와 농협의 줄다리기가 계속될 전망이다.
농협 관계자는 “농축협 단위조합의 부실자산이 1500억원에 달한다”며 “이 부분이 해결되지 않으면 그동안 후순위채 판매, ABS 발행 등으로 자산건전성을 제고한 노력이 물거품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는 별도로 농협은 시중은행 합병시 정부가 지원해준 금액 기준으로 부실채권 2조6000억원, 후순위채 5000억원 매입 등을 재경부와 협의하고 있어 공적자금 고갈로 진통을 겪고 있는 정부와 통합비용을 놓고 논란이 계속 진행될 전망이다.
송정훈 기자 jh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