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남북정상회담 발표 후 정부지시로 잠잠하던 대북 금융사업 주도권 싸움에 이번에는 우회적인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지난 19일 수출입은행은 ‘남북한 경제협력:발전전략과 정책과제’를 펴내 대북 경제사업 전반에 걸쳐 자신의 논조를 표명했고 이에 질세라 같은 날 산업은행은 북한 대성은행 임원 출신 귀순자 최세영씨를 초청해 북한금융특강을 열어 대북 금융사업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표명했다.
또 산업은행은 최근 한국금융연구원에 용역을 줘 만든 연구보고서를 이용해 “산업은행을 북한 산업에 대한 전문조사 연구기관으로 육성하고 수출입은행이 취급하는 남북협력기금 중 무상지원 자금을 제외한 유상 경협지원자금을 산업은행이 맡아야 한다”고 구체적인 부분을 건드려 수출입은행을 공격했다.
금융계 일각에서는 “대북 금융사업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나 고유업무영역의 문제는 정상회담과 경협일정과 함께 정부에 의해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해 소모적인 주도권싸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