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재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소장은 28일 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 보험위원회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방카슈랑스가 국내에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방카슈랑스 국내도입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이 소장은 국내도입현황에서 금융업종간 업무제휴의 기반은 확보됐지만 금융기관의 내적문제로 방카슈랑스가 적극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관 내부의 비효율적인 인력, 신판매채널과 구판매채널 사이의 갈등 등이 이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국제금융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 금융기관의 내부 갈등을 먼저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방카슈랑스의 형태는 전략적 제휴, 지분상호보유, 금융지주회사를 통한 자회사 소유, 조인트벤처 설립 등이 있다고 설명하고 우리나라는 현재 전략적 제휴 단계이고 앞으로 방카슈랑스가 진전될 때를 대비해 다양한 형태의 방카슈랑스를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의 무분별한 도입보다는 자사의 전략적 목표를 명확화하고 내적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소속회사에 적합한 모형을 선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 소장 외에도 김기홍닫기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