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증권사의 10곳 중 3곳은 ‘투톱’ 대표이사(CEO) 체제를 가동 중이다. 비중 면에서는 단독대표 체제가 여전히 우세하지만, 각자대표 체제는 책임 경영 강화, 분업화를 통한 경영 효율성 및 전문성 제고 등을 장점으로 효용성이 부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2인 체제인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대표 김미섭닫기






2인 대표 체제도 두 가지 갈래로 나뉜다. 우선 IB(투자금융), WM(자산관리) 등 전문성을 지향한 각자대표 체제가 있다. 대부분의 2인 대표 체제 증권사가 이에 해당한다.
또, 신영, 유진, 다올 등 일부 증권사는 오너십(ownership)이 있는 대표이사와 손발을 맞춘 공동 사령탑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미래에셋그룹의 경우, 증권, 자산운용 등 핵심 계열사들이 전문성에 특화한 각자대표 체제를 표방한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글로벌 부문의 김미섭 부회장, WM 부문의 허선호 부회장의 2인 대표 체제다.
미래에셋은 금투업계 최다 해외 네트워크를 보유 중이다. 창업주인 박현주닫기

400조원대로 커진 퇴직연금 시장에서도 미래에셋증권은 증권사 중 적립금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IMA(종합투자계좌)(자기자본 8조원 이상 대상) 후보군에도 올라 있다.
통합 KB증권도 각자대표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KB증권은 IB의 김성현 대표, WM의 이홍구 대표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특히, 업계의 대표적인 IB통인 김성현 대표는 2019년부터 재임해 ‘장수 CEO’로도 자리매김했다. KB증권은 '5조 클럽'을 기록한 KB금융그룹에서 두 자릿수 순익 기여분을 기록한 비(非)은행 주요 계열사로 이름을 올렸다.
통상, 증권사 사업 영역을 살피면 IB, WM, 세일즈 앤 트레이딩(S&T), 해외(글로벌), PI(자기자본투자) 등으로 구분된다.
IB만 봐도, DCM(채권자본시장), ECM(주식자본시장), 인수금융(M&A) 등으로 세분화 돼 있다. 나아가 파생 딜(deal)이 창출되기도 한다. WM도 역시 '슈퍼 리치(super rich)' 자산관리부터 디지털(비대면) 대중 자산관리까지 범위가 넓다.
이에 따라 성격이 다른 IB와 WM 분야에 대해서 모든 의사결정을 도맡아 하는 단독 대표체제는 운영상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1인 대표 체제는 여전히 우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사업 영역에 대해서 대표이사 이 외의 임원들에게 전권에 준하는 책임을 맡기는 방식으로도 보완되고 있다”고 말했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2인 대표라도 각자대표 체제는 공동대표 체제와 다른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며 “각자대표 체제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나누고 책임진다는 점에서 보면 경영 효율화 측면에서 진정한 이점이 따른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