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22년 지하수 오염물질 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51개 기초지자체에서 중금속 등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이와 함께 2018~2023년 사이 지하수오염지역 조사에서는 공업용수로조차도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염된 지하수 지역이 다수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의 2023년 2000개 관정 표본조사에서도 61.9%(1237건)가 마시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조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하수 오염 지역은 경북 봉화군에 위치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지하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1급 발암물질인 카드뮴이 공업 용수 기준((0.02mg/ℓ) 최대 3만 배 이상 초과(0.28∼753mg/ℓ)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2019년 폐수를 무단으로 배출하고 무허가 배관을 설치하는 등 물환경보전법 위반 사실이 적발돼, 지난 2월부터 58일간 조업 정지에 들어갔다가 최근 운영 재개를 준비 중이다.
특히 수질 기준에 부적합한 지하수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 중금속 물질은 맹독성인 비소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경북 봉화군 지하수에선 15회 수질 검사 중 무려 8차례나 부적합 결과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영풍 석포제련소에서는 지난 2023년 말 비소 중독으로 노동자 4명의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는데, 제련소 인근 비소 오염 실태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의원실의 설명이다.
환경부가 지하수 오염 우려 지역을 선정해 조사하는 지하수오염지역 조사 및 관리 사업에서도 마찬가지로 석포제련소 부근의 비소 및 불소 오염 실태가 확인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환경공단이 지난 2022년 실시한 조사 결과에서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일대에서 비소와 불소 항목이 수질 기준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는 최대 0.283㎎, 불소는 최대 3.001㎎/l까지검출됐다. 환경공단이 조사를 실시한 석포면 일대에는 제련소 및 폐광산이 포함돼 있다.
석포면 바로 옆에 위치한 소천면 일대에서도 고농도의 불소가 검출되면서 음용을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 역시 일부 지점에서 수질 기준을 초과된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당국 자료에 따르면 석포제련소 부근에서는 비소와 불소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의 오염 실태도 추가로 확인된다. 대구지방환경청이 33곳의 관정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카드뮴은 공업용수 기준(0.02mg/ℓ)을 최대 3만 배 이상 초과(0.28∼753mg/ℓ)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지하수에서는 수은과 납, 크롬 역시 공업용수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김태선 의원은 “국민 건강은 물론 농업과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하수가 중금속과 발암물질에 오염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석포제련소 인근에서 검출된 맹독성 비소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정부는 오염 지역 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지하수 이용 제한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