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형근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사장 / 사진제공= 현대차증권
24일 현대차증권은 공정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271억 원, 당기순이익 19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6.2%, 89.3% 증가한 수치다. 특히 부동산 PF 위주의 수익구조에 따른 업계 전반의 우려 속에서도 고른 수익 기반 확보와 리스크 관리 능력을 실적으로 입증했다는 평가다.
배 사장은 취임 이후 사업 체질 개선과 수익 다변화를 강조해 왔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말 신설된 S&T(세일즈앤트레이딩) 본부는 이번 분기 실적 호조의 중심에 섰다. 해당 부문은 파생상품 운용, 자기자본투자(PI), 채권 인수 등 전방위적 활동을 통해 총 690억 원의 순영업수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수치다.
PI 부문에서는 국내외 자산 운용 성과와 구로 ‘지밸리 비즈플라자’ 지분 매각 수익이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작용했다. 채권 부문에서는 2.9조 원 규모의 은행채 인수로 수익을 끌어올리며, 1분기 은행채 리그테이블 1위를 차지했다.
리테일 부문 또한 금융상품 판매 확대와 VIP 고객관리 강화를 통해 성장세를 나타냈다. 금융상품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한 순영업수익을 기록하며 전체 리테일 실적을 견인했다. 현대차증권은 2분기부터 MTS 시스템 개선과 해외주식 거래 이벤트 등을 통해 고객 편의성과 수수료 수익을 동시에 확대할 계획이다.
IB 부문은 부동산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수익 안정성을 확보했다. 특히 ABL(자산담보부대출) 및 일반 기업대출 금융주선 등 비부동산 영역 확대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했다. 1분기 기업금융 부문에서는 총 1조 2,125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인수해 전년 대비 14%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현대차증권의 실적 반등에는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전략도 주요하게 작용했다. 2025년 3월 말 기준 우발채무 규모는 6,259억 원으로, 작년 말 대비 자기자본 대비 비율이 12%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3월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으로 NCR(순자본비율)은 591%까지 개선되며, 작년 말(478%) 대비 크게 상승했다. 이에 따라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 등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AA-(안정적)’을 유지했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S&T(세일즈앤트레이딩), 리테일 ‘양 날개’의 고른 수익성 확보와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1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의 비결”이라며, “올해는 게임체인저 역량 확보, 비즈니스 체질 개선 지속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배형근 사장의 전략 아래 실적 성장과 체질 개선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는 현대차증권은, 단순한 실적 회복을 넘어 업계 내 중장기 경쟁력 강화의 본보기를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