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은행 본점 / 사진제공 = 하나은행
함영주닫기

앞서 공시됐던 사고는 외부 사기로 인한 건이었고 회수율도 높았지만, 이번 사고는 내부 직원으로부터 발생한 부당대출인 데다 금품수수까지 자행됐다는 점에서 내부통제 시스템에 대한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지난 23일 부당대출, 사적 금전대차, 금품수수 등으로 74억원대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회수 및 손실 규모는 아직 조사 중이다.
이번 사고는 하나은행 직원 A씨가 대출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여신 거래처와 관련인으로부터 허위 서류를 받아 대출을 과도하게 내준 건으로, A씨는 부당대출의 대가로 금품까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적인 금전 대차 정황도 확인됐다.
하나은행으로부터 사고 사실을 보고 받은 금융감독원은 사건의 심각성을 고려해 지난주 수시검사에 착수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에 대해 "개인의 일탈을 잡아내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여신 감독·담보 검증이 꼼꼼하게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지난 2021년 10월 12일부터 2024년 12월 26일까지 이어졌다.
무려 3년 간 이어진 금융범죄를 인지하지 못한 것이다. 하나금융의 내부통제 기조와 시스템에 허점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사고 금액 대부분이 담보 여신이고, 향후 부동산 매각을 통해 부실 여신 회수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며 ”향후 여신서류 점검 및 심사, 취급 전반에 대한 시스템을 개선하고 검사 강화 등을 통해 재발방지에 최선의 노력을 기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취임 직후부터 '철통 같은 내부통제'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하나금융그룹도 함 회장의 기조에 따라 윤리강령·내부통제규정 등의 확립과 임직원 교육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통제 강화에 힘써왔지만, 이번 사건으로 관리·감독 시스템에는 구멍이 있었음이 드러났다.
금융업계 전문가는 "최근 수년 간 타행에서 금융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하나은행도 내부통제를 더욱 강화했음에도 사고를 일찍 잡아내지 못했다는 것은 시스템이 미흡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허위 서류를 작성한다고 하더라도, 여신과 담보에 대한 이중 삼중 검증 단계를 마련한다면 범죄를 조기에 발견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의 약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하나은행 측은 ”여신서류 점검 및 심사, 취급 전반에 대한 시스템을 개선 중이며, 구체적인 사항이 나오는 대로 고객들에게 공지해 불편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