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우아한형제들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4조3226억원, 영업이익 640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3조4155억원)보다 26.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전년(6998억원)보다 8.4% 감소했다.
매출액 증가는 배민의 주력 사업인 푸드 딜리버리 서비스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한 덕분이다. 배민B마트, 장보기와 쇼핑 등 커머스 서비스도 빠르게 성장하면서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반면 소비자 배달팁을 플랫폼이 부담하는 배달 수요가 늘면서 라이더 비용이 반영된 외주용역비를 비롯한 영업비용이 증가해 영업이익은 전년 보다 감소했다.
영업비용은 3조6818억원으로 전년(2조7156억원)보다 35.6% 늘어났다. 특히 영업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라이더 배달비 성격의 외주용역비는 2조2369억원으로 전년(1조2902억원) 대비 73.4% 늘어 매출 성장률을 크게 상회했다.
지난해 무료배달 등 영향으로 매출은 약 8000억원 가량 늘었지만, 관련 비용 또한 1조원 가량 증가하며 전년 대비 영업이익률이 감소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매출 구분별로는 푸드 딜리버리 서비스와 중개형 커머스(장보기·쇼핑) 등 실적을 나타내는 서비스매출이 3조5598억원으로 전년(2조7187억원)보다 30.9% 증가했다.
지난해 장보기·쇼핑 주문수는 전년 같은기간 보다 369% 늘었다. 거래액도 같은 기간 309% 성장했다. 특히 장보기·쇼핑에 입점한 편의점, 기업형 슈퍼마켓, 대형마트의 지난해 총 주문수는 전년보다 5배 증가했다.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1시간 이내 배달하는 배민B마트(퀵커머스) 사업 실적인 상품매출은 지난해 7568억원으로 전년 같은기간(6880억원)보다 10% 성장했다. 또한 B마트는 지난해 처음으로 연간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기준 흑자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는 식품군에서 생활용품군으로 판매상품 구색을 지속 확대하며 고객 니즈를 충족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B마트는 기존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외에도 트렌드를 반영한 유기농 친환경 제품이나 건강 식단 관리 상품 등 판매 카테고리를 다양화하고 있다. 또한 B마트에서 구매 가능한 생활용품도 화장품, 헤어/바디용품, 생활잡화, 반려동물용품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B마트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PB상품인 ‘배민이지’와 상위 프리미엄 라인인 ‘배그니처’도 합리적인 가격, 좋은 품질로 고객의 사랑을 받으며 B마트 성장에 기여했다. 배민이지, 배그니처 등 B마트 PB상품수(SKU)는 현재 약 150여개로, PB상품 매출은 2023년 대비 2024년 82% 증가했다.
B마트 고객 1인당 평균 주문 금액인 객단가 또한 2023년 대비 2024년 2.8% 올랐다. 지난해 B마트, 장보기·쇼핑 등을 비롯한 배민 커머스 사업 주문자수와 주문수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9.4%, 38.8%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배민 커머스 사업 연간 거래액은 지난해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배민은 국내 배달앱 시장은 물론 글로벌 트렌드에서도 플랫폼의 자체 배달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는 만큼 배달품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유통업계 전반 격화되는 구독제 경쟁에서 배민클럽 회원 혜택을 지속 고도화할 방침이다. 이에 ▲인기 프랜차이즈 브랜드 혜택 확대 ▲장보기·쇼핑 및 B마트 등 커머스 할인 강화 ▲제휴 파트너십 확장 등 배민클럽 서비스 경쟁력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푸드 딜리버리, 커머스 사업의 고른 성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면서 “올해도 배달 품질 향상, 구독제 혜택 강화, 픽업 주문, 커머스 등 마케팅 투자 등을 통해 고객 가치를 극대화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