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단채피해자 비대위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홈플러스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후 홈플러스의 무책임한 행태와 김병주 회장의 도덕 불감증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최근 ▲신영증권을 비롯한 증권사가 연대해 홈플러스의 사기채권 발행 혐의에 대해 고소장 접수 ▲모 중소기업 법인의 고소장 접수 ▲금감원이 발표한 홈플러스와 MBK에 대한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 ▲정무위 소속 야 3당 국회의원이 재원마련 방안 10일 제시 한 점 등을 언급하며 여전히 홈플러스가 이번 사태를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위는 “해외로 도피한 ‘도망자’ 김병주 회장은 ‘일보 언론 보도를 통해 잡음이 발생했다’며 언론에게 책임을 뒤집어 씌우는 뻔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비대위와 피해자들은 4월10일까지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홈플러스가 사태해결에 성의있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 피해자 모두 함께 고소고발장을 11일 서울 중앙지검에 제출해 사법부의 엄중한 처벌을 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들은 “MBK의 못된 행태로 피해를 보는 일이 다른 나라에도 재발 되지 않도록 MBK 평판 리스크를 더욱 높여 나갈 것”이라며 “MBK가 거래하는 각국의 증권감독기관과 각 언론사에 ‘MBK 요주의령’ 영문 논평과 피해자 탄원서 논문을 적극 접수해 전 세계 언론에 MBK 김병주 회장의 잘못을 고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동시에 김광일 부회장 자택 앞 피켓시위도 곧 시행할 계획이라며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홈플러스 경영진들은 사재 출연 등 모든 방법을 강구해 홈플러스 정상화와 유동화전단채 피해 원금반환을 즉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