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4일 한국금융신문은 2025년 창간 33주년 기획에 따라 국내 84개 금융사 CEO들에게 ‘K-금융, AI 혁명 속 길을 찾다’를 주제로 AI에 대한 평가, 영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기획에 참여한 토스뱅크는 설문을 통해 “AI를 기반으로 고도화와 효율성을 실현하며, 디지털 금융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며 포부를 밝혔다.
그는 AI 관련 목표와 지향점을 묻는 질문에 “AI 기술을 활용하여 예측 모델과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키는 한편, 은행 서비스의 각 단계에서 시간 단축과 정확성 향상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현재 토스뱅크의 AI 업무는 테크팀에서 전담하고 있다. 테크팀에 속한 AI엔지니어들은 상품개발, 경기변동 예측, 신용평가 모델, 대출 심사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모델을 발전시키고 있다. 토스뱅크는 “고객과의 실제 접점이 있는 분야에서도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해 각 파트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토스뱅크는 “AI엔지니어를 주축으로 은행 전반에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토스뱅크는 신용 모형· 대출 심사 등 은행 여신 부문은 물론, 수신 부문에서도 다양한 예측 모형을 고도화해 적용하고 있다.
또한, 금리 변동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예측하는 경기 변동 예측 시스템에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신분증 진위 확인, 챗봇 등 여러 분야에서도 AI 기술이 접목되어 있다.
더불어 토스뱅크는 AI 기술을 활용해 예측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토스뱅크는 “은행에서는 경기 변동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대비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며 “경제 상황은 복잡하고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쉽지 않지만, AI 및 ML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변수를 고려하고 정교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토스뱅크는 특히 은행 여신 부문의 핵심인 신용평가 시스템에서도 AI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및 개인사업자의 신용을 더욱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고객 확인 및 응대 부문에서도 AI기술을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여나가고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개설 시 본인 인증 절차에서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고객센터 상담 시 AI 기반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다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토스뱅크는 “내부 업무에 대한 깊은 이해가 기술 활용의 극대화를 가능하게 한다고 믿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시스템을 외부 업체에 의존하기보다는 내부에서 직접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를 통해 당행만의 차별화된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답변을 마무리했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