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LH는 올해 공공기관 역대 최대 수준인 19조1000억원 규모로 공사·용역 신규 발주를 추진한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해 발주 실적 17조8000억원에 약 1조3000억원이 더해진 수준으로, 유형별로는 ▲공사 17조8000억원(787건) ▲용역 1조3000억원(663건) 수준이다.
이번 발주계획에서 주택 수요가 집중된 수도권 비중은 전체의 69%(약 13조2000억원) 수준이다. 그중 ▲남양주왕숙1,2(9969억원) ▲인천계양(7905억원) ▲하남교산(4505억원) 등 3기 신도시 비중은 약 18%(3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뿐만 아니라 약 2조4000억원대 용인 국가산단 조성 공사 발주도 예정돼 있다.
투자집행 시기도 앞당긴다. LH는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조기 투자집행 기조에 맞춰 1분기에는 연간 발주 물량의 23%를 상반기에는 누적 약 59% 수준의 발주를 추진한다.
LH는 공공주택 착공 6만 호 달성을 위해 전체 발주계획 중 약 12조6000억원(65%)을 건축공사와 아파트 부대공사 등에 편성했다. 용역에서도 공공주택 사업과 관련한 기술용역 발주에 약 1조2000억원(90%)을 배치했다.
발주계획을 심사유형별로 살펴보면 ▲종합심사낙찰제(간이종심제 포함) 12조5000억원(288건) ▲적격심사 2조9000억원(941건) ▲기타 3조7000억원(221건) 규모다.
LH는 건설업계 관심이 높은 주요 아파트 대형공사 발주 일정은 월별·분기별로 면밀히 관리하는 한편, 하반기 주요 공사 일정은 변동사항을 반영해 상시 재공지하는 등 건설업체들의 지속적인 입찰 참여를 지원할 계획이다.

GH 본사 전경.사진제공=GH
최근 GH에 따르면 1조9000억원 규모의 제3판교 테크노밸리 개발사업 등 민간참여사업 부문에 2조350억원, 공사 3094억원, 용역 1556억원 등 올해에만 총 2조5000억원의 공사·용역을 발주한다고 밝혔다. 올해 발주 금액은 역대 최대 규모다.
GH는 정부의 재정 신속집행 정책 기조에 맞춰 올 1분기 7216억원, 상반기까지 총 1조4000억원을 조기 집행키로 했다.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목표액은 도내 107개 공기업의 같은 기간 집행목표액 3조9000억원의 36%를 차지한다.
이어 공사 및 용역 물량(4650억원)의 70% 이상을 상반기에 발주해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에 마중물 역할을 하기로 했다.
먼저 용역 부문은 ▲화성동탄2 A78블록 등 건설사업관리용역 255억원 ▲안양 관양고 A1~A4블럭 건설사업관리용역 185억원 ▲고양창릉 공공주택 설계용역 58억원 등이 포함됐다.
주요 공사 발주계획에는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부지조성공사(3공구) 700억원 ▲성남금토 공공주택지구 기반시설 설치공사 559억원 ▲고양킨텍스 입체교차로 건설공사 549억원 등이 포함됐다.
특히 GH는 정보통신공사 발주도 계획하고 있다. 2월 중에는 광명학온지구 현장사업단 정보통신공사(11억원)가 예정돼 있으며 ▲4월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 부지조성공사 구조물 통신공사(41억원) ▲7월 경기양주 테크노밸리 도시첨단산업단지 정보통신공사(1억7000만원) ▲7월 양주 은남일반산업단지 정보통신공사(7억7000만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용인시 보정동·마북동·신갈동과 수지구 상현동·풍덕천동 일대 272만8000여㎡ 부지에 신도시를 조성하는 대형프로젝트다. 공동사업 시행자인 경기도와 용인시, GH, 용인도시공사가 사업비 총 8조268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일각에선 이같은 공기관의 지원이 허울 좋은 정책으로 끝날 수도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도움이 된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계점이 명확하다”며 “최근 건설사가 리스크를 없애기 위해 선별수주 전략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공사현장이 많아진다고 한들 수익성이 보장된 곳 외에는 큰 효과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허울 좋은 모습만 될 수도 있다. 건설사들에 입장에서 현금이 들어오는 게 바로 진행되는 것도 아니고, 착공부터 준공까지 시차가 크다”며 “결국 지방건설사의 경우에는 단순히 공사가 많아진다 한들 무너져가게 되는 상황은 똑같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대형건설사의 입장에서도 단순히 주택사업보다는 대형SOC사업을 선호한다. 주택사업 자체만으로 수익성을 확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며 “공공발주 공사비의 경우에도 국민의 세금이 투입되는 것이니 신중해야겠지만, 충족해줄 만큼 뛰어나지도 않은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