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은행장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 사진= 한국금융신문(2025.02.19)


이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실적으로 우리은행 내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 관련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임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기회 될 때마다 사석에서도 많이 밝혀 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원장은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유지된 채로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와, 그렇다고 아무렇게 해도 된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이다"며 "진행중인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실태 평가 도출과, 이후 자회사 편입문제, 증권사 인허가 문제 등은 원칙대로 엄정하게 진행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원장은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보면 회장님이나 행장님 입장에서 보면 본인들이 직을 걸고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키도 했다.
아울러, 최근 금융권의 일련의 금융사고 배경에 온정주의 문화 등이 있다고 짚기도 했다.
이 원장은 "우리 금융권이 외연 확장을 하고 이익을 내며 번듯하게 성장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만큼 내부도 단단해져 있는 지 고민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