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 한국금융신문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내년 금리인하 횟수 축소가 전망됨에 따라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금리 인하'로 풀이됐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23.03포인트(-2.58%) 하락한 4만2326.87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날까지 10거래일 연속 약세 마감이다. 11거래일 연속 내린 1974년 이후 50년 만에 최장기간 약세다.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8.45포인트(-2.95%) 하락한 5872.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장보다 716.37포인트(-3.56%) 하락한 1만9392.69에 마감했다.
연준은 이날 이틀 간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25%p 인하한 4.25~4.50%로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금리 인하 결정은 만장일치가 아니라, 동결 소수의견이 존재했다.
또 FOMC 위원들은 점도표(dot plot)에서 내년인 2025년 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중간값 기준 3.9%로 내다봤다. 이는 직전인 2024년 9월 전망치(3.4%)보다 0.5%p나 상향된 것이다.
연준이 0.25%씩 금리를 인하할 경우, 직전 전망보다 금리인하 횟수가 4회에서 2회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19명의 위원 중 10명이 2025년 금리 밴드를 3.75~4.0%로 전망했다.
이 같은 속도조절 배경으로는 내년 트럼프닫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금리 인하) 과정에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