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차환과 자본확충 목적에 따라 대기업과 금융사는 금리 하락기를 활용해 직접금융시장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이는 제1금융권 대비 금융비용 절감과 편의성의 장점 덕분에 회사채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래픽=KFT금융연구소/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자금용도별로 보면 차입금 상환(차환)이 전체 발행의 68.4%(5조 5260억원)에 달했다. 운영자금 마련이 18.6%(1조 5000억원)로 뒤를 이었다. 또 KT&G, 삼성바이오로직스, LS, 세아제강 등 일부 기업들은 시설자금 확보나 타법인 지분 취득을 통한 미래성장 투자 목적으로 약 1조 5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시장의 관심을 모았다.
기간별로는 3년 만기 채권이 3조 5390억원(43.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수요예측 평균 경쟁률은 7.52대 1로 집계되었다. 2년 만기 채권도 1조 7100억원(21.2%) 발행되며 평균 6.75대 1의 경쟁률을 보이는 등 2~3년 중기물 채권이 전체 발행의 65%를 차지해 인기를 끌었다. 이는 금리 하락기에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려는 발행사와 안정적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간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10월 발행된 회사채는 신용등급 AA 이상 채권이 전체 발행금액의 76.1%를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A-등급 이상 채권은 총 9조 8450억원으로 전체 발행의 97.3%에 달해,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신중히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BBB+ ~ BBB 등급은 2720억원(2.7%)에 그쳤다.
등급별 경쟁률에서는 AA등급이 8.71대 1로 최고를 기록하며 투자자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발행 금리와 신용도에 따른 투자 안정성이 주목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高신용 등급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강하게 나타났다.
AA- 등급 채권이 2조 2750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AA등급(1조 4400억원), A+등급(1조 1430억원) 순으로 발행이 많았다. 금융시장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두경우 한국금융신문 전문위원 kwd122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