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13일 울산공장 내 전기차 신공장 부지에서 열린 전기차 전용공장 기공식에 참석했다.
정 회장은 이날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은 앞으로 50년, 전동화 시대를 향한 또 다른 시작"이라며 "과거 최고의 차를 만들겠다는 꿈이 오늘날 울산을 자동차 공업 도시로 만든 것처럼 전기차 전용공장을 시작으로 울산이 전동화 시대를 주도하는 혁신 모빌리티 도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윤여철 전 부회장, 김억조 전 부회장, 윤갑한 전 사장 등 '품질 경영'으로 대표되는 정몽구 회장 시대에 활약한 역대 울산공장장들도 초청됐다. 울산공장은 1968년 조립 공장으로 출발해, 1975년 현대차 첫 고유 모델인 포니를 양산했다. 해외에 의존했던 자동차 설비와 부품 국산화가 활발해지며 국내 자동차 생산 기술 발전의 기폭제가 됐다는 평가다.
신공장 부지도 의미가 있다. 이 곳은 종합 주행시험장이 있던 곳이다. 쏘나타·엑센트·아반떼 등 회사의 장수 모델 뿐만 아니라 아이오닉5·6 같은 최신 전기차도 여기서 성능과 품질을 담금질했다.
정의선 회장은 이 같은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경영정신을 계승·발전시키겠다는 헤리티지 경영을 내세우고 있다. 이번 신공장 기공식을 계기로도 지난 50년간 울산공장을 돌아볼 수 있는 헤리티지 전시를 운영한다. 여기서 현대차 최초 조립차량 '코티나' 복원 모델, 첫 양산차 포니의 고성능 콘셉트 '포니 쿠페' 복원 모델, 1991년 최초 전기차 프로토타입 '쏘나타(Y2)EV' 등 대표 차량들과 과거 울산공장 직원들의 사원증·월급봉투와 이들이 사용한 장비 등이 전시된다.
신공장에도 로보틱스·스마트 물류·AI 등 혁신 기술이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수요 중심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제어 시스템 ▲탄소중립·RE100(재생에너지 사용 100%) 달성을 위한 친환경 저탄소 공법 ▲안전하고 효율적 작업이 가능한 인간 친화적 설비 등이다. 새로운 제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건립한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서 실증한 기술들이다.
이밖에도 오픈형 그룹라운지와 울산 자연을 공장 안으로 들여온 센트럴파크를 조성해 근로자들의 휴식 공간이자 커뮤니티 허브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신공장에는 약 2조원을 투입해 연 2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진다. 이는 2026년 현대차 전기차 판매 목표 84만대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이밖에도 기존 내연기관차 라인전환 등을 통해 2030년 전기차 국내 생산비중 45%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신공장 양산 시작은 2026년 1분기로 예정됐다. 첫 양산 모델은 100% 전기차 전환을 선언한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의 초대형SUV 전기차다.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은 기공식에서 "울산 성장에 현대차가 가장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미래를 함께 그려 나가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