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관 한화 부회장.
고 김 회장은 화약과 기간산업 중심으로 회사를 키웠다. 1960년 초에 사회 기반 건립의 필수적인 화약 국산화와 니트로글리세린 생산에 성공하는 성과를 냈다. 1960년 중반부터 1980년까지는 기간산업에 집중투자했다. 1960년대 중반 한국화성공업(현재 한화솔루션)을 통해 유화 분야에 진출했으며 신한베아링공업 인수로 기계 분야 경쟁력을 강화했다. 1969년 경인에너지 설립에 이어 1971년 한국정공(현재 (주)한화 기계부문)을 설립했고, 1972년 경인에너지 정유공장 및 발전소도 준공했다.
1952년 한국화약을 설립한 김종희 한화그룹 창업주.
이미지 확대보기총수 취임 이듬해인 1982년 한국다우케미칼과 한영화악을 인수한 그는 1985년 정아그룹, 1986년 한양유통의 인수합병까지 성사했다. 이들은 각각 한화솔루션,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갤러리아의 뿌리가 됐다.
1992년 ‘한국화약그룹’에서 ‘한화그룹’으로 그룹명을 변경한 김 회장은 2000년대부터 현재의 한화그룹의 핵심들을 인수하기 시작했다. 지난 2002년 대한생명(현재 한화생명) 인수를 시작으로 2012년 독일 큐셀, 2015년 한화-삼성 방산·화학 빅딜이 그것이다.
적극적 M&A로 현재의 한화그룹을 만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독일 태양광회사 큐셀 인수는 북미 주거·상업용 태양광 모듈 4년 연속 1위의 성과를 내는 뿌리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을 상징하는 태양광 사업의 핵심이기도 한 큐셀을 통해 한화는 현재 미국 등 글로벌 태양광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해당 투자를 통해 김 부회장은 내년까지 미국 조지아주 카스터빌 태양광 생산 시설(이하 카스터빌)을 건설한다. 카스터빌은 잉곳·웨이퍼·셀·모듈을 각각 3.3GW 규모로 생산한다. 2025년 상업 가동이 시작된다면 지난 2019년 건설한 ‘달튼 공장(이하 달튼)’과 함께 ‘솔라 허브’를 구축하게 된다. 차세대 태양광 모듈인 ‘텐덤 셀’의 양산(오는 2026년 하반기 상업 생산 목표)에도 시동, 글로벌 태양광 선도자를 공고히 하기 위한 투자를 이어가는 중이다.
K-록히드마틴 행보는 지난 5월에 두드러졌다. 이 시기에 3차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가 그 상징이다. 해당 발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제종합기업 역할을 담당해 제작 총괄 관리, 발사 공동 운용 등을 수행했다. 민간 기업이 우주 발사체 체제종합기업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최초다. 이 행보를 통해 김동관 부회장은 ‘뉴스페이스 선도자’라는 타이틀을 얻었고 ▲2027년까지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 사업(SAR) 검증 위성 개발’ ▲2025년 UAM(도심항공교통) 상용화 ▲제주 우주센터 건립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5월 25일 3차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 /사진=네이버TV 생중계 갈무리.
이미지 확대보기기존 한화그룹 방산의 이끄는 육상 방산 역시 곧 대규모 수주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 중이다. 타깃 지역은 폴란드다. 지난해 K9 자주포 3조2000억 원 규모 수출 계약을 맺은 폴란드에서 K2 전차 두뇌라고 할 수 있는 ‘사격통제시스템’ 공급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해당 수출이 성사된다면 한화그룹은 계열사인 한화시스템(대표 어성철)이 가진 ‘위성 시스템’ 수출을 추진, 뉴스페이스 영토를 확장할 방침이다.
지난해 폴란드와 3조2000억 원의 수출 계약을 맺은 K9 자주포. 사진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