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는 설비투자에 25조2593억원을 할애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24.7% 규모를 키웠다. 특히 반도체 비중은 92%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글로벌 IT 수요와 업황 회복을 예상하고 프리미엄과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투자·판매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은 이미 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올 2분기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등 부가가치 높은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가 늘어나며 전분기 대비 적자를 축소했다. 여기에 실적 악화 원인인 메모리 반도체 재고가 지난 5월부터 줄어들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도 나오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자회사 배당금·차입 확대, 지분 매각 등 다방면으로 설비투자 자금 마련에 적극 나섰다. 올 상반기 삼성전자 배당금 수익은 21조8458억원으로 전년 동기 1378억원 대비 158배 증가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 별도기준 현금성 자산은 3조791억원으로 전년 말과 비교해 27.3% 줄었다. 적극적 투자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21조9900억원을 끌어왔다. 지난 2월 양사는 2025년 8월을 만기로 20조원 규모 차입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고려하면 규모를 10% 확대한 셈이다.
삼성전자는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 지분 일부를 매각해 3조원 가량 현금도 확보했다. 이외에도 중국 전기차업체 BYD 주식 238만주(약 1152억원), 국내 장비회사 에스에프에이의 주식 154만4000주(약 676억원)를 팔았다.

▲ 삼성전자 수원본사
반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2042년까지 300조원 투입을 결정한 장기 프로젝트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는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 공장은 생산제품을 정하지 않았지만 단일 단지 기준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된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P1(D램·낸드플래시 양산), P2·P3(메모리반도체·파운드리 양산 하이브리드형)에 이어 내년 상반기 가동이 예상되는 P4가 건설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극자외선(EUV) 공정 기반 D램, 낸드, 5나노 이하 EUV 파운드리 생산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연내 완공 예정인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이 내년 하반기부터 4나노 공정 기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제품 양산을 시작한다. 최근 미국 AI 솔루션 혁신기업 ‘그로크(Groq)’와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며 고객사도 확보했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가 4나노 공정 수율을 75%까지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스마트폰 후발주자였던 삼성전자가 글로벌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로 자리 잡은 것도 유명한 위기 극복 일화 중 하나다.
첫 스마트폰 ‘옴니아’가 조기 단종의 길을 걸었으나 새 스마트폰 브랜드 ‘갤럭시S’로 판도를 바꿨다.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보유한 구글과 협력하고 성능·기술력 향상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다각적인 AS 지원 등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이재용닫기

삼성전자는 지난해 10월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서 성장 전략으로 쉘 퍼스트 전략을 공개하기도 했다. 쉘 퍼스트 전략은 반도체 위탁생산 필수 공간인 생산공장 ‘클린룸’을 수조원을 투입해 먼저 완성하는 등 고객사 주문 시 즉각 생산할 수 있는 선제적 투자 방식을 의미한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