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3%, 식품 가격은 4.1%, 개인서비스 가격은 4.7% 오르는 등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에 한덕수닫기

여기에 더해 국내 휘발유 평균 가격이 ℓ(리터)당 1700원을 돌파해 불안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유가 상승이 식품, 서비스 등 소비자 물가 추가 상승을 초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가 상승 불안이 이어지자 똑똑한 소비를 도울 수 있는 신용·체크카드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알뜰한 소비로 물가 상승에 대한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카드와 혜택들로 똑똑한 카드 한 장 찾기가 어려운 요즘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 ‘혜택별 인기차드’를 통해 항목별 인기카드 1~3위 혜택을 살펴본다.
카드고릴라의 카드타입별 인기 순위를 살펴보면 지난달 국내 카드 중 마트+교육비 혜택 TOP3 중 1위를 차지한 카드는 현대카드의 ‘현대카드 M BOOST’다.
‘현대카드 M BOOST’는 업종별로 0.5~3%의 M포인트 적립해 준다. 월 100만원 이상 이용 시 1.5배 적립 가능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커피(스타벅스/폴바셋/이디야), 영화(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에서 기본 3% 적립된다. 대중교통(시내버스/지하철/택시), 베이커리(파리바게뜨/뚜레쥬르/파리크라상)에선 2%가 기본적립 되며 편의점, 학원에선 1%가 기본적립 된다.
외식, 통신에서는 0.7%가 기본적립 되며 이 외에도 보험, 화장품, 이미용, 온라인쇼핑몰, 의류, 제화/잡화, 백화점, 면세점, 대형마트, 창고형 할인점, 서점, 병원/약국, 항공, 차량 정비, 하이패스, 자동차(수입 자동차, 중고차, 기타), 해외 이용 등에서도 0.5% 기본적립 혜택을 받아볼 수 있다
위 혜택들은 월 100만원 이상 이용 시 1.5배 적립이 가능하며 M포인트는 현대카드 등록 가맹점, M몰, 제휴몰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제휴사 상품권과 할인권으로도 교환할 수 있다.
마트+교육비 혜택 TOP3 중 2위를 차지한 카드는 KB국민카드의 ‘다담카드’다. 이 카드는 혜택 선택형 카드로 생활/교육/쇼핑/직장인/레저팩 중 1개를 택해 보다 세부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생활팩 선택시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등 대형마트에서 7% 포인트리가 적립된다. 또한 롯데, 신세계, 현대백화점과 커피/베이커리/아이스크림 업종에서도 결제금액의 5% 포인트리로 적립된다.
교육팩 선택시 이용 건당 10만원 이상 시 학원비 5%가 포인트리로 적립되며 서점 또한 5% 포인트리가 적립된다. 이 외에도 쇼핑/직장인/레저팩에 따라 맞춤형 포인트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맞춤형 적립 외에도 기본 할인서비스가 제공된다.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통신비에서 01% 청구할인이 진행된다. 월 할인한도는 5000원이다.
SK주유소 이용시 리터당 60원 청구할인이 가능하며 인터파크 영화 예매시 1매당 3500원 청구할인도 제공된다. 롯데월드, 에버랜드, 캐리비안베이에서도 30~50% 할인 혜택이 갖춰져 있다.
마트+교육비 혜택 3위 카드는 KB국민카드의 ‘Easy all 티타늄카드’다. 이 카드도 혜택 선택형 카드로 Auto 모드(많이 쓴 영역에서 자동 캐시백)와 DIY 모드 (원하는 영역에서 자유롭게 청구할인)를 고객이 선택해 취향에 맞춰 할인받을 수 있다.
마트/교육/음식/병원·약국/이동통신/편의점/커피 등 20개의 할인 영역이 있으며 고객이 할인을 원하는 영역과 할인한도 패턴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LOCA 365 카드’는 아파트관리비, 공과금(도시가스비,정기료) 자동납부 시 10% 할인을 적용한다.
지하철,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과 통신요금, 학습지, 배달앱(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이용시에도 10% 할인을 적용한다.
보험료 자동납부 시 10% 할인되며 넷플릭스, 유튜브, 왓챠, 멜론, 지니뮤직, 디즈니 플러스 등 디지털 구독의 경우 1,500원 할인이 제공된다. 10% 할인의 경우 5000원 한도로 할인이 제공되며 매월 50만원 이용시 혜택이 적용된다.
통신+공과금 혜택 2위 카드는 신한카드의 ‘신한카드 Mr.Life’다. 전기요금 /도시가스요금/ SKT, LG U+, KT 통신요금등 월납요금이 10%할인된다. 전월실적에 따라 최대 만원 할인 가능하다.
이 외에도 편의점, 병원/약국업종, 세탁소 업종, 온라인 쇼핑, 택시, 식음료, 대형마트에서 10% 할인이 제공되며 SK에너지/GS칼텍스/현대오일뱅크/S-Oil 등 4대 정유사에서는 주말할인서비스로 리터당 60원의 할인이 적용된다.
통신+공과금 혜택 3위 카드는 KB국민카드의 ‘탄탄대로 올쇼핑 티타늄카드’다. 아파트관리비, 도시가스요금, 통신비 등 자동납부영엽에서 월 최대 2만원 한도로 10% 청구할인이 적용된다.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와 홈쇼핑, 온라인쇼핑몰, 인터넷면세점, 가전제품업종에서도 10% 청구할인이 제공된다. 편의점과 카페에서는 5% 청구할인이 적용되며 SK, GS칼텍스에서 주유시 리터당 100원 청구할인이 제공된다.
다만 이 카드는 신규발급이 중단된 상태다. 대신 마트+교육비 혜택 3위 카드를 차지했던 KB국민카드 ‘Easy all 티타늄카드’에서 영역과 할인한도를 조합해 통신+공과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카드고릴라의 카드타입별 인기 순위를 살펴보면 지난달 국내 카드 중 점심+교통 혜택 TOP3 중 1위를 차지한 카드는 ‘신한카드 Mr.Life’다. 통신+공과금 부문에서도 인기 TOP3에 포함됐던 이 카드는 편의점, 병원/약국업종, 세탁소 업종, 온라인 쇼핑, 택시, 식음료, 대형마트에서 10% 할인이 제공되며 SK에너지/GS칼텍스/현대오일뱅크/S-Oil 등 4대 정유사에서는 주말할인서비스로 리터당 60원의 할인이 적용된다.
이 외에도 전기요금 /도시가스요금/ SKT, LG U+, KT 통신요금등 월납요금이 10%할인된다.
점심+교통 혜택 2위 카드는 우리카드의 ‘DA@카드의정석’이다.
‘DA@카드의정석’은 우선 전월 이용금액과 관계없이, 할인한도 제한 없이 모든 가맹점 결제 시 0.8~1.3% 청구할인이 제공된다. 일반 가맹점의 경우 0.8% 기본 청구할인이 적용되며 생활업종은 0.5% 추가 청구할인 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일반음식점과 카페/디저트 등 제과점, 편의점, 대형마트에서 1.3% 청구할인이 적용된다. 시내버스, 지하철, 택시에서 1.3% 청구할인을 제공하는 것에 더해 항공사에서도 동일한 비율의 청구할인이 적용된다.
이 외에 병원/약국, 쇼핑, 뷰티/피트니스에서도 1.3% 청구할인이 적용되며 렌탈, 교육/육아, 영화/문화, 주유, 통신 부문에서는 0.8% 기본 청구할인이 제공된다.
점심+교통 혜택 3위 카드는 마트+교육비 혜택 TOP3 카드에도 포함됐던 KB국민카드의 ‘다담카드’다. 이 카드는 혜택 선택형 카드로 생활/교육/쇼핑/직장인/레저팩 중 1개를 택해 보다 세부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직장인팩 선택시 스타벅스, 커피빈, 파스쿠치 등 커피 업종에서 7% 포인트리가 적립된다. 또한 음식/편의점 업종에서도 5% 포인트리 적립이 가능하다.
생활팩 선택시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등 대형마트에서 7% 포인트리가 적립된다. 또한 롯데, 신세계, 현대백화점과 커피/베이커리/아이스크림 업종에서도 결제금액의 5% 포인트리로 적립된다.
맞춤형 적립 외에도 기본 할인서비스가 제공된다.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통신비에서 01% 청구할인이 진행된다. 월 할인한도는 5000원이다.
SK주유소 이용시 리터당 60원 청구할인이 가능하며 인터파크 영화 예매시 1매당 3500원 청구할인도 제공된다. 롯데월드, 에버랜드, 캐리비안베이에서도 30~50% 할인 혜택이 갖춰져 있다.
이처럼 고유가 기조가 이어지자 주유관련 혜택이 많은 카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발급 카드 중 주유+차량정비 혜택이 있는 인기 상위 3위 카드 중 1위는 신한카드의 ‘신한카드 Deep Oil’이다.
신한카드의 ‘신한카드 Deep Oil’은 4개의 정유사(GS칼텍스, SK에너지, S-OIL, 현대오일뱅크) 중 직접 고른 1개 정유사 주유 이용금액과 정비소 스피드메이트의 이용금액 10%가 할인된다. 또한 전국 모든 주차장도 10% 할인 제공된다.
이 외에도 편의점(GS25, CU)와 카페(스타벅스, 이디야), 택시 5% 할인이 적용된다.
주유+차량정비 혜택 2위 카드는 ‘마트+교육비’와 ‘점심+교통’ 혜택 TOP3에 들었던 KB국민카드의 ‘다담카드’다. 이 카드는 혜택 선택형 카드로 생활/교육/쇼핑/직장인/레저팩 중 1개를 택해 보다 세부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레저팩 선택 시 스피드메이트 자동차 정비 2만원 현장 할인을 제공하며 타이어펑크 무료 수리 등 기타 정비관련 제공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맞춤형 적립 외에도 기본 할인서비스가 제공된다.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통신비에서 01% 청구할인이 진행된다. 월 할인한도는 5000원이다.
SK주유소 이용시 리터당 60원 청구할인이 가능하며 인터파크 영화 예매시 1매당 3500원 청구할인도 제공된다. 롯데월드, 에버랜드, 캐리비안베이에서도 30~50% 할인 혜택이 갖춰져 있다.
주유+차량정비 혜택 3위 카드는 IBK기업은행의 ‘Oil & Life카드(Oil카드)’다.
‘Oil & Life카드(Oil카드)’는 특화 서비스로 GS칼텍스에서 리터당 120원 청구할인이 적용된다. 1일 1회, 월 4회까지 가능하며 회당 주유금액 10만원 한도가 있다.
기본 서비스로는 autoOasis 정비할인이 제공된다. 엔진오일 1만원 할인, 에어컨가스 2만원 할인, 미션오일 1만원 할인, 부동액 1만원 할인, 파워오일 1만원 할인, 브레이크액 1만원 할인을 연 1회 제공한다.
이 외에도 통신비 3% 할인이 적용되며 CGV, 롯데시네마에서 2천원 현장할인도 받을 수 있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