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토큰증권 시장이 오는 2030년까지 370조원 규모로 커진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대형증권사를 비롯한 SK·유진·유안타 등 중소형사도 미래 먹거리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토큰증권이란 권리 내용·권리자 등 증권에 관한 정보를 분산원장에 기재하는 방식으로 발행·거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전자증권과 유사하지만, 탈중앙화된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올해 초 금융당국의 STO 관련 가이드라인 발표에 이어 윤창현닫기

이에 초기부터 컨소시엄 결성, 발행 플랫폼 구축을 시작한 대형증권사뿐만 아니라 중소형 증권사도 본격적인 시장 진출에 팔을 걷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K증권(대표 김신닫기

또한 토큰증권 발행·유통을 위한 자체적인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미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 신청도 완료했다. 이밖에 증권·은행 등 금융사와 다양한 기초자산 기업과 함께 협의체 구성을 논의하고 있다.
현재 SK증권과 업무협약(MOU)을 맺은 기업은 ▲펀블(부동산) ▲서울옥션블루·테사(미술품) ▲핑거(특허권) ▲한국해양자산거래(선박금융) ▲바른손랩스(영화IP) ▲파이브노드(신재생에너지) 등이 있다.
유진투자증권(대표 유창수, 고경모)은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개발을 위해 람다256, 아이티아이즈와 MOU를 맺고 연내 개발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밖에 ▲바른손랩스 ▲한국해양자산거래 ▲파이브노드, 갤럭시아머니트리와 MOU를 맺었으며 다수의 혁신금융서비스 신청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골동품, 수집품, 부동산채권, 설비, 방송·엔터 분야 기업과 미팅을 통해 다양한 자산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관계자는 “기존 증권 상품에서 선보이지 못한 혁신성이 있으면서도 사회공헌·투자자 이익을 우선하고 권익 보호에 적합한 상품을 찾는 데 주력 중”이라면서 “토큰증권 플랫폼 개발을 연내 완료해 STO 비즈니스를 시장 선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유안타증권(대표 궈밍쩡)은 STO 사업 진출을 위한 테스크포스(TF)를 결성하고 제휴 업체 발굴·기술 플랫폼 도입 등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지난 4월에는 블록체인 원천기술업체 람다256과 MOU도 맺었다. 해당 MOU를 통해 양사는 토큰증권 플랫폼 도입과 기술 부문 협력, 컨소시엄 구성, 사업 홍보 등에서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유안타증권 관계자는 “복수의 자산 보유사 대상으로 협업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토큰증권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개발 업체 선정 작업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