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2일 '큰 형님의 뒤를 따라간다' 리포트에서 "미국 연준(Fed) 통화정책, 중국 외환정책, 한국 펀더멘털 감안 시 환율 변화는 제한적"이라며 "수급 측면에서 외국인이 순매수하는 업종을 주목할 만하며, 현 상황에서는 반도체가 핵심"이라고 제시했다.
외국인의 한국 이탈 가능성이 당분간 낮고, 외국인 수급이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둔화될 전망으로, 현 미국 기준금리 상단은 5.25%이고 추후 금리 상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은 낮다"고 제시했다.
파월 연준의장의 연설에서 은행 유동성 문제로 대출 태고가 변화하면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위기가 포착됐다고 짚었다.
김 연구원은 "미국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낮추고 달러 강세를 약화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제시했다.
또 김 연구원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방어할 예정으로, 최근 위안/달러 환율은 1달러 당 7위안을 돌파했다"고 지목했다. 위안화 가치가 떨어질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져 성장이 둔화될 수 있으므로, 중국은 선제적으로 외화 지급준비율을 낮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위안/달러 환율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원/달러 환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아울러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2',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표시하는 등 한국 펀더멘털에 이상이 없다는 점도 짚었다. 김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은 이전보다 다소 낮아졌으나, 경제 전반에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이런 요인들로 인해 원화 변동성은 크지 않을 전망으로 환율에 민감한 외국인의 순매수 기조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그는 "최근 국내증시에서 보여줬던 것처럼 외국인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를 집중 순매수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 흐름을 그대로 따라갈 필요가 있고, 당분간 최우선 선택지는 반도체"라고 판단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