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44%로 전월(3.56%) 대비 0.12%포인트 하락했다.
신규 코픽스는 지난해 11월 4.34%까지 오른 뒤 같은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한 바 있다. 이후 지난 3월 4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4월 다시 하락 전환했다.
코픽스 3.44%는 현재 기준금리(3.50%)보다 낮은 수준이다. 코픽스가 기준금리를 밑돈 것은 2010년 2월 코픽스 공표 이후 2013년 4월(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2.74%·4월 중 기준금리 2.75%)과 2014년 7월(2.48%·2.50%)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16일부터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지표금리로 삼는 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내려간다.
KB국민은행의 주담대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는 4.09∼5.49%에서 3.97∼5.37%로 낮아진다. 신규 코픽스 기준 전세자금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 금리도 3.69∼5.09%에서 3.57∼4.97%로 하락한다.
우리은행의 주담대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 역시 4.45∼5.65%에서 4.33∼5.53%로 0.12%p 내려간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3.71%에서 3.73%로 0.02%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6월부터 새로 도입된 '신(新)잔액 기준 코픽스'는 3.09%로 0.01%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따라 신잔액 코픽스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는 소폭 오른다. 국민은행은 4.15∼5.55%에서 4.16∼5.56%로, 우리은행은 4.41∼5.61%에서 4.42∼5.62%로 상향 조정된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를 반영해 상승 또는 하락한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비용을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고,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의 경우다.
신규취급액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에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후순위채 및 전환사채 제외)가 포함된다.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여기에 기타 예수금, 기타 차입금과 결제성자금 등이 추가된다.
잔액 기준 코픽스와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일반적으로 시장금리 변동이 서서히 반영되나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해당 월 중 신규로 조달한 자금을 대상으로 산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시장금리 변동이 신속히 반영되는 특징이 있다.
은행연 관계자는 “코픽스 연동 대출을 받고자 하는 경우 코픽스의 특징을 충분히 이해한 후 신중하게 대출상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한국금융신문DB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