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가운데)이 9일(현지시각) 싱가포르 팬 퍼시픽 호텔에서 열린 'INVEST K-FINANCE:SINGAPORE IR 2023' 해외투자자와의 패널토론에서 답변하고 있다. / 사진제공= 금융감독원(2023.05.09)
이미지 확대보기
이 원장은 9일(현지시각) 싱가포르 팬 퍼시픽 호텔에서 열린 'INVEST K-FINANCE:SINGAPORE IR 2023' 해외투자자와의 패널토론에서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유지를 전제로 한 주주환원정책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배당절차를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투자자들은 금융당국의 자본시장 발전 관련 정책적 주안점, 그리고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한국 금융회사에 대한 저평가에 대한 대응 계획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어 이 원장은 "금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수익기반 다변화 및 해외진출 확대, 지배구조 개선 등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예상되는 한국 금융시장의 주요 위험 요인 및 대응방안에 대해 이 원장은 대외적 위험요인으로 미국 연준(Fed)의 긴축 지속, 중국경기 회복 여부, 지정학적 갈등을, 대내적 위험요인으로 부동산 경기침체 장기화, 무역수지 적자 등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를 꼽았다.
이 원장은 "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상당한 상황"이라며 "면밀한 금융시장 모니터링, 금융시장 이상징후 조기 탐지 및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 시행, 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 정상화 및 금융회사 손실흡수능력 제고 방안 마련 등을 추진중 "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의 자본시장 발전 관련 정책적 주안점으로 이 원장은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도 폐지 등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시장 접근성을 제고하고,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스튜어드십 코드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소액주주 등 투자자보호 및 주주환원 관련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여 한국 자본시장의 선진화를 적극 도모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국내 은행권 경쟁 촉진 및 구조 개선 등을 위해 T/F(태스크포스)가 구성돼 논의가 진행중인데 대한 제도 개선 원칙과 기대 효과에 대해 이 원장은 국민후생 증진, 금융산업 발전, 금융안정의 세 가지 축을 종합 고려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이 원장은 "단기적으로는 은행산업 내, 금융산업 간, 금융상품 간 경쟁을 촉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은행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성과보수체계 개선, 수익기반 다양화 등을통해 경쟁력을 제고하는 등 은행산업의 경쟁적·효율적 발전으로 한국 금융시장의 매력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감독당국의 금융산업 지원을 위한 금융혁신 추진에 대한 부분의 경우, 이 원장은 "국제기준에 부합하며 디지털에 기반한 금융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금산분리 등 제도개선 방향, 자본시장 규제혁신 및 디지털혁신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며 "우수한 국내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금융혁신 가속화로 국내 금융시장의 양적 성장 및 글로벌화 촉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금감원과 6개 금융회사가 공동 주최했다. 행사에는 윤종규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