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4분기에는 유가증권 운용평가손실, 희망퇴직 비용 등이 일회성 반영되면서 당기순손실 적자 전환했다.
KB증권은 2022년 연결 기준 연간 영업이익이 2450억원, 세전이익 2875억원, 당기순이익 213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0.2%, -64.9%, -64.5%다.
KB금융그룹은 "KB증권은 주식시장 침체와 시장금리 상승 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수탁수수료와 S&T 부문 실적이 부진했다"고 제시했다.
WM부문은 증시 거래대금 감소 여파 속에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수익이 44% 감소했다.
KB증권의 리테일 고객 총자산(위탁자산+WM자산)은 2022년 12월 기준 119조원으로 2021년 말(133조원) 대비 후퇴했다.
IB 부문의 경우 DCM(채권자본시장)/ECM(주시자본시장)/국내 M&A·인수금융에서 업계 최상위(블룸버그 공시기준) 4관왕(쿼드러플 크라운)을 기록했다.
운용 수익 후퇴도 실적 악화 요인이 됐다.
특히 KB증권은 연결 기준 2022년 4분기 당기순손실 974억원으로 분기 적자 전환했다.
수탁수수료가 전 분기 대비 감소하고, 유가증권 운용평가손실(-670억원), 희망퇴직 비용(-160억원), 실권주 관련 매매평가 손실(-250억원) 등으로 약 830억원(세후)의 일회성 비용이 인식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