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CEO 리스크 관리를 저희가 해야 한다는 것은 저희의 책무이지 재량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기관이 중소/중견기업에 대출을 해줄 때 기업의 CEO가 누구인지는 엄청나게 중요한 요소"라며 "저희(금감원)도 결국은 카운터파트로서 금융기관의 CEO가 포지티브(긍정적)하게 훌륭한 분인지, 네거티브(부정적)하게 리스크가 있는 분인지 안 보는 것도 이상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다만 관치 논란이 불거지는 데 대해 이 원장은 "확실한 것은 혹여 예전과 같은 권위주의 시대와 같은 선임 내지는 개입이 있었느냐 한다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농협금융의 경우 중앙회가 의사결정 기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저희가 어떤 의견을 전달하거나 반시장적 방법을 취한 것은 전혀 없었다"며 "관여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손태승닫기

또 금융당국의 대출금리 점검에 대해서는 경제학적 외부효과(Externality) 관점에서 보고 있다고 시사했다. 개별적으로 합리적 판단을 해도 전체로 보면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시장의 효율적 작동을 통한 가격 결정 기능에는 개입을 안 하는 게 원칙적으로 맞고, 금리에 대해 견해를 밝히는 게 개입으로 보일 수는 있다"면서도 "다만 일종의 런(run)이 있을 수 있다면 그것은 외부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그런 차원에서 금융당국의 책임이 있다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말 연초 관리 상황을 보면서 입장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