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지난 2일 강남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개최하고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2.5% 하락, 전세는 0.5% 상승을 예상했다. 건설 수주 역시 전년대비 7.5%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는 주택가격이 3분기에 0.9%, 4분기엔 1.1% 하락하며 연간 누적 하락률이 1.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집값이 올해보다 더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지역별 주택 매매가격은 2023년 수도권 2.0% 지방 3.0%, 전국 2.5%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환닫기

반면 전세가격은 내년에는 0.5%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가 상승 전망 원인은 매매수요가 감소하면서 반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는 게 건산연 측의 설명이다. 또 최근 월세거래가 늘어 상대적으로 전세 입지가 축소돼 가격이 하락했지만, 임대차 전반의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월세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는 만큼 전세가격이 하락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내년도 공동주택 분양 승인 예상 물량은 27만호로, 올해 31만호보다 4만호 정도 감소하고 연간 인허가 물량은 올해 46만호에서 내년 43만호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원자재를 포함한 공사비용 상승, 분양 시장 침체로 분양·인허가 물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대비 7.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산연은 내년 정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10% 이상 줄고 기준금리가 급등하는 등 시장상황이 어려워 206조8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내년도 건설투자액은 259조원으로 올해보다 0.1%가량 늘어날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