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과 수입 급증에도 역(-)성장을 방어하며, 9개 분기 연속 성장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총재 이창용닫기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1~2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한 뒤, 이후 9개 분기째 성장세다.
실질 GDP는 전년 동기 대비해서는 3.1% 성장했다.
3분기 성장률을 지출 별로 보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내구재(승용차 등)와 서비스(음식숙박 등) 등이 늘어 1.9%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0.2% 늘었다.
건설투자는 비주거용 건물건설이 늘어 0.4%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늘어 5.0%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이 줄었으나 운송장비, 서비스 수출 등을 중심으로 1.0% 증가하고, 수입은 원유,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5.8% 늘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감소하였으나 서비스업 등은 증가했다.
농림어업은 축산업 등을 중심으로 5.5% 증가했다.
제조업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줄어 1.0% 감소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0.3%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늘어 1.8% 늘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금융 및 보험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 늘어 0.7% 증가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대비 1.3% 감소했다. 실질GDP(0.3%)가 증가했지만, 교역조건이 악화된 탓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