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열차 자율주행 핵심기술인 ‘5G 차상통신장치’에 5G 에지 클라우드와 5G 품질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저지연 통신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SK텔레콤
이미지 확대보기
SK텔레콤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이 개발한 열차 자율주행 핵심기술인 ‘5G 차상통신장치’에 5G 에지 클라우드와 5G 품질 최적화 기술을 적용하고, 저지연 통신 테스트에 성공했다.
‘5G 차상통신자치’는 열차 스스로 주행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열차 간 운행정보를 실시간 송수신하는 기술로, 안정적인 저지연 통신이 필요하다.
철도연은 저지연 통신의 철도 이용을 위해 ‘5G 차상통신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열차 간 저지연 통신 기능은 SK텔레콤 ‘5G 에지 클라우드’에 구현했다.
양사는 충북 오송에 위치한 철도연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열차의 자율주행 통신 상황을 구현해 열차 자율주행에 필요한 열차간 저지연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 테스트에선 ‘SKT 5G 에지 클라우드’ 적용 시 일반 클라우드 대비 약 20% 지연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자율주행에 필요한 종단간 서비스 지연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오송역 부근 5G 기지국에 지연 품질 최적화 기술을 추가적으로 적용해 기존 대비 약 50% 지연시간을 단축했다.
SK텔레콤 측은 “일반 클라우드에서 어려웠던 지연 시간 목표를 99.9% 만족하여 자율주행 현실화가 가능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선진 철도국을 중심으로 열차제어기술이 무선통신망을 통해 열차 간 필요 정보를 직접 주고받는 열차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이동 중이다”며, “수송력을 높이고, 운행 간격을 단축하는 열차자율주행 시스템을 미래 명품 K-철도기술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