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닫기

윤 행장은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검찰 공소장을 보니 디스커버리 펀드는 신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 환매 대금을 마련하는 등 돌려막기하고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펀드 쪼개기 수법까지 쓰는 등 희대의 사기극”이라며 “국책은행이 어떻게 이런 펀드를 판매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해당 펀드는 2017년 4월부터 기업은행과 하나은행 등 3개 은행과 한국투자증권 등 9개 증권사에서 판매됐다. 기업은행의 경우 2017~2019년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를 각각 3612억원, 3180억원 규모로 팔았다.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는 작년 5월 기업은행이 판매한 손해 미확정 디스커버리 펀드에 대해 투자 원금의 40~80%를 배상하라는 조정안을 내놨다.
올해 2월에는 금융위원회가 디스커버리 펀드 판매사인 기업은행의 설명의무 위반을 비롯한 불완전판매 행위와 투자 광고 규정 위반행위 등에 대해 자본시장법 등 위반으로 기관 업무 일부정지 1개월, 과태료 47억1000만원, 임직원 제재 등을 결정했다.
윤 행장은 “분쟁조정위원회에서 40~80% 책임을 지라는 결과가 나왔고 현재 고객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는 과정으로 55% 정도가 동의한 상태”라며 “정해진 절차에 따라 나머지 분들에게도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