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왼쪽부터) 벤 버냉키(Ben S. Bernanke) 전 미국 연준(Fed) 의장, 더글러스 다이아몬드(Douglas W. Diamond) 미국 시카고대 교수, 필립 딥비그(Philip H. Dybvig)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교수 / 사진출처= The Nobel Prize 트위터 갈무리(2022.10.10)
이미지 확대보기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0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의 202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수상자들은 금융위기 때 은행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며 "수상자들의 통찰력이 심각한 위기와 값비싼 구제금융을 피할 우리의 능력을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버냉키 전 의장은 1983년 발표한 논문에서 1930년대 미국 대공황을 분석해 은행의 위기가 경제위기를 장기화시키는 결정적 위기라는 점을 제시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듯 유동성 공급에 나서 이른바 '헬리콥터 벤'이라고 불렸던 바 있다.
다이아몬드 교수와 딥비그 교수도 '뱅크런(bank-run)'이 발생하면 은행 시스템이 붕괴되므로, 이를 막기위해 예금자보호 제도 등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규명한 바 있다.
이번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은 상금 1000만 스웨덴 크로나를 3분의 1씩 나눠 받게 된다.
경제학상을 마지막으로 올해 6개 분야 노벨상 수상자 선정은 마무리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