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그래픽= 한국금융신문
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장보다 416.33포인트(1.29%) 상승한 3만2812.50,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장보다 63.98포인트(1.56%) 상승한 4155.1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장보다 319.40포인트(2.59%) 상승한 1만2668.16에 마감했다.
3대 지수는 3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했다.
긴장 요인이 됐던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이 미치는 금융시장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났고, 경제지표와 기업 실적 향방에 투심이 더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ISM이 발표한 7월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6.7로 전달(55.3)보다 개선됐고 시장 예상도 웃돌면서 경기 둔화 우려를 줄이는 소식으로 인식됐다.
다만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연말까지 총 1.5%p의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는 등 미국 연준(Fed) 의원들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이 이어졌지만 시장이 크게 반응하지는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의 호실적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다.
글로벌 온라인 결제 플랫폼 페이팔은 전 거래일보다 9.25% 상승한 97.92달러에 마감했다.
페이팔은 2022년 2분기 실적발표에서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0.93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전망치 0.86달러를 웃돈다. 앞서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닫기

코로나19 백신 수요로 인해 2분기 '깜짝 실적'을 내놓은 모더나는 전 거래일보다 15.97% 상승한 186.49달러에 마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