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한 DGB생명 대표./사진 제공= DGB생명보험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DGB생명 RBC비율은 1분기 84.5%에서 2분기에는 165.8%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상회했다. RBC비율을 회복한건 2분기 중 전환우선주 발행과 급격한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당국의 LAT 40% 가용자본 인정 정책 덕이다. DGB생명은 지난 6월 전환우선주 발행으로 1520억원 증자를 단행했다.
DGB생명 관계자는 "LAT 40% 가용자본 인정 정책과 지난 6월 1520억원 규모 전환우선주 발행을 통한 증자로 RBC비율은 회복했다"라고 말했다.
DGB생명은 지난 1분기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RBC비율 급락을 겪으며 지난 4월 300억원 유상증자로 대응해 RBC비율을 100%대로 끌어올리기도 했다. 최근에는 장기 금리가 안정화되고 금융당국 완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RBC비율은 모두 회복했다. 내년 IFRS17으로 회계제도가 전환되면 RBC비율을 더이상 활용하지 않게 돼 사실상 업계에서는 모두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대만 유지하자는 기조로 나오고 있다.
DGB생명 상반기 순익은 전년동기대비 66.2% 하락한 133억원을 기록했다. 대부분 생보사와 달리 변액보증준비금 영향보다는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평가이익 축소가 영향을 미쳤다. 금리 상승기이지만 채권을 매각하지 않았고 저축성보험 만기 도래에 따른 보험손익이 발생한 영향이 컸다.
DGB생명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채권 매각으로 이익을 올릴 수 있었지만 장기적인 영향을 고려해 매각을 하지 않아 평가이익이 축소됐다"라며 "변액보증준비금 영향보다는 저축성보험 만기 도래증가로 보험손익이 확대돼 순익이 감소한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DGB생명 보험이익은 -122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4.1% 증가했다. 상반기 DGB생명 보험영업수익은 3310억원, 보험영업비용은 4535억원이다.
변액보험 보증준비금 부담이 크지 않았던건 보수적인 자산운용 덕이다. DGB생명은 글로벌 시장 분산 투자, 복수 운용사 선정 통한 경쟁 시스템, 수익률 하락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예비 운용사 관리, 체계적 모니터링 등으로 수익률을 관리해왔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직전 1년 가중평균 수익률은 3.89%로 생명보험사 중 1위를 기록했다. DGB생명 변액보험이 보증형 상품이 많은 점도 영향을 미쳤다.
DGB생명은 내년 IFRS17 도입 시 이익이 현재보다 2배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 선제적으로 킥스(K-ICS) 제도에 대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