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이 최근 저축은행의 PF대출 사업장 1174곳에 대한 사업성 평가를 점검했다. 이번 점검에서 실제 공사가 중단된 사업장은 24곳이었지만 공정률과 분양률 등이 저조한 ‘요주의 사업장’에 대한 대출 규모가 2조2000억원에 달했다. 이중 저축은행이 건전성을 ‘정상’으로 분류한 대출 규모가 1조3000억원으로 전체의 57.8%를 차지했다.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부문에서 부동산 관련 대출 쏠림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최근 건설 원가 상승과 부동산 가격 하락 등으로 PF 사업장의 사업 지연·중단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에서 자의적으로 사업성을 평가할 우려가 있다고 바라보고 사업성 평가 기준을 더욱 구체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최근 저축은행의 PF대출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지난 2019년 PF대출 규모가 6조3000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9조5000억원까지 확대됐으며 지난 1분기 기준 10조4000억원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 1분기 기준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OK저축은행이 9429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투자저축은행이 8899억원, 웰컴저축은행 5725억원 , SBI저축은행 1137억원, 페퍼저축은행 1105억원을 기록했다.
이복현닫기

금감원은 저축은행을 비롯해 카드,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사와 상호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사업성 평가에 대해서도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금감원은 모든 PF대출에 대한 사업성 평가를 실시하는 등 기업대출 실태를 점검하고 여전사와 함께 ‘기업여신 심사 및 사후관리 모범규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