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 가넷홀에서 KDA(한국디지털자산사업자연합회) 등 주죄로 열린 '차기정부 디지털 자산 정책 우선 순위 어떻게' 정책포럼 모습 / 자료제공= KDA 한국디지털자산사업자연합회(2022.04.26)
이미지 확대보기강성후 한국디지털자산사업자연합회(KDA) 회장은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 가넷홀에서 개최한 '차기정부 디지털 자산 정책 우선 순위 어떻게' 정책포럼에서 주제발표자로 이같이 말했다.
강 회장은 "지난 3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디지털 자산 행정명령을 계기로 주요 국가들은 디지털 자산 글로벌 패권 경쟁에 돌입했다"며 "주요 국가들보다 3~5년 뒤져 있는 우리나라는 주무 부처마저도 없어 지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KDA가 네이버 오피스 폼을 활용해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중 어느 부처가 디지털 자산 주무부처로서 적합한지 간이 의견조사를 한 결과로, 접속인원 347명의 24.4%인 722명이 응답을 했으며 응답자의 68.2%(495명)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선택했다고 제시했다. 이어 21.7%(157명)가 금융위원회를 선택했다고 했다.
강 회장은 "차기정부에서는 상당기간 정부조직 개편을 하지 않기로 방침을 밝힌 점을 감안해 과기부를 디지털 자산 주무 부처로 지정하고 대통령령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제규칙을 개정해 3개국을 관장하는 디지털자산산업실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날 김형닫기

김 회장은 "해외 언론이 주목하고 있는 신현성과 권도형 공동대표의 테라 프로젝트, 김범수닫기

또 김 회장은 "윤석열 당선인은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이 늦어지더라도 규제당국이 대통령령, 고시 등을 개정해 네거티브 규제에 준하는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미국 바이든 대통령처럼 디지털자산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 의지를 천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