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신제품에는 일부분만 사용하지만 앞으로 MX사업부 전 라인으로 해양 폐기물을 재활용한 소재를 사용할 계획이다. 최승은 삼성전자 MX 마케팅 부사장은 “더 지속 가능한 기술 사용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지구를 살리는 갤럭시의 시작이다.
그래픽=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삼성전자는 지난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실시한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으로 B+를 받았다. 2020년 A등급과 비교하면 한 단계 떨어졌다. 환경(A)과 사회(A+)는 지난해와 동일한 등급을 받았지만, 지배구조는 B+에서 B로 하향 조정됐다. 국정농단 항소심 재판 상황과 삼성웰스토리 사내급식 일감 몰아주기 논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삼성전자를 새롭게 이끌게 된 한종희닫기한종희기사 모아보기 DX부문장(부회장)과 경계현닫기경계현기사 모아보기 DS부문장(사장)은 올해 키워드 중 하나로 ‘ESG 선도’를 내걸었다.
이들은 신년사에서 “회사가 창출하는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하고 준법의식을 체질화해 글로벌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라며 ESG 경영을 강조했다. 한 부회장은 지난달 열린 CES(소비자가전전시회) 2022 기조연설에서 ‘미래를 위한 동행’을 주제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삼성의 친환경 활동을 발표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답게 지난 2019년 반도체 업계 최초로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메모리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 인증’을 받았다. 제품 생산·유통·사용·폐기 등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측정해 일정 기준을 충족햐야 받는 인증이다.
삼성전자는 유튜브를 활용해 ESG 활동을 널리 알리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채널은 DS(디바이스솔루션)사업부문 ESG 활동을 담은 ‘내일도 애쓰지(ESG)’를 공개했다.
시즌1에서는 ▲저전력 반도체 ▲대기환경 ▲폐수처리 ▲재생에너지 등 ESG 업무 담당자 1인칭 시점에서 ESG 활동과 노력을 보여줬다. 시즌2에서는 ESG를 담당하는 임직원과 임직원의 가족·지인 및 일반인 등이 등장해 제 3자 시각에서 ESG 활동을 보여준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지난해 말 내놓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1’에 따르면, 2020년 총 540개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통해 예상 배출양 대비 총 709만 10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이는 2019년 온실가스 감축량 대비 39% 증가한 수준이다.
그간 TV 박스에만 적용한 재활용 소재를 올해부터는 박스 안에 넣는 스티로폼과 홀더 등 부속품에도 적용해 친환경 요소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포장 박스를 업사이클링 할 수 있는 ‘에코패키지’는 기존 TV를 넘어 청소기, 비스포크 큐커, 공기청정기 등 가전제품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 부회장의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는 ‘동행’ 비전을 제시 이후 협력사와의 상생 경영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국내 최초 9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중소협력사 자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상생펀드와 물대지원펀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협력사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보유 특허 2만 7000개도 무상으로 개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청년SW아카데미 ▲삼성주니어SW아카데미 ▲삼성스마트스쿨 ▲삼성드림클래스 ▲삼성희망디딤돌 등 청소년 교육 중심의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삼성은 지배구조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이사회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이사회 내 위원회인 ‘거버넌스위원회’를 지난해 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개편했다. 지속가능 경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돼 운영의 독립성을 보장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기존 거버넌스위원회가 수행해온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주주가치 제고 등 역할에 더해 ESG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특히 위원회 운영의 독립성을 위해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이찬희 신임 삼성 준법위원장도 삼성의 지배구조 개선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지배구조 개선 문제는 삼성이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환경(E)과 사회(S)보다는 지배구조(G) 개선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최종적으로는 최고경영진이나 내부 구성원뿐만 아니라 주주인 국민이 삼성의 실질적 주인으로 대우받는 지배구조 개선이 이뤄지도록 철저한 준법감시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