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역대 최대 실적으로, 전년(3422억원) 대비 47.0% 증가한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대규모 대손충당급 적립 등으로 위축됐던 DGB대구은행(은행장 임성훈닫기


주력 계열사 대구은행의 연간 순이익은 전년(2383억원)보다 38.5% 늘어난 3300억원을 기록했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자이익이 증가했고, 선제적 리스크(위험) 관리로 대손 비용(회수 불가능 금액)을 크게 감축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구은행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과 연체율은 각각 0.48%, 0.22%로 전년에 비해 0.01%포인트(p), 0.15%p 개선됐다. 주요 건전성 지표도 낮은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어 올해 이익 전망도 밝게 본다고 DGB금융 측은 전했다.
비은행 계열사 ‘하이투자증권’과 ‘DGB캐피탈’의 연간 순이익은 각각 1639억원, 702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46.9%, 94.5% 급증한 수준이다.
하이투자증권은 주식 거래대금 축소 영향 때문에 올해 브로커리지(중개업) 수입이 감소할 수 있겠으나, 기업금융(IB)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문에서 수익성이 높게 유지될 것으로 관측된다.
DGB캐피탈 역시 최근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고 NPL 비율과 연체율 등 주요 건전성 비율도 추세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도 양호한 실적이 기대된다.
DGB금융 관계자는 “자회사 이익이 골고루 증가한 가운데 선제적 리스크 관리, 양호한 건전성 지표 등이 실적 개선에 도움 됐다”며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잠재적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