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최종호가수익률(2022.02.08 장 마감 기준)
이미지 확대보기글로벌 금리인상 기조 본격화와 함께, 국내적으로 추가경정예산(추경) 증액 가능성에 따른 적자국채 발행 부담 우려가 영향 요인으로 작용했다.
8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최종호가수익률에 따르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6.6bp(1bp=0.01%p) 상승한 연 2.303%에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2018년 5월 15일(연 2.312%) 이후 최고치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도 9.5bp 상승한 연 2.733%까지 치솟았다.
국고채 5년물과 2년물 금리는 각각 9.7bp, 5.0bp 오른 연 2.563%, 연 2.095%로 집계됐다.
국고채 20년물, 30년물, 50년물은 각각 3.1bp, 2.2bp, 1.8bp씩 상승한 연 2.706%, 연 2.638%, 연 2.580%를 나타냈다.
전날(7일) 한국은행이 시장안정화 조치로 2조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매입에 나섰지만 국고채 금리는 상승 영향권에 들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가 우선 재료가 됐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1.95%까지 상승하면서 2%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국내 국고채 금리도 동조화를 보이고 있다.
국내 추경 증액 갑론을박도 겹쳤다. 정부가 최근 국회에 14조원 규모 추경안을 제출했지만 정치권에서 35~50조원 규모로 증액을 요구하고 있어서 국채시장 약세 요인이 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금리 상승에 따른 위험요인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언급을 하기도 했다.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채권의 투자 심리가 약해졌다. 이번주 발표될 미국 1월 소비자물가(CPI), 10년과 30년 미 국채 입찰이 주목되고 있다.
안재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7일 한은의 단순매입 실시에도 불편한 대외 환경 속 투자 심리 위축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긴축적 연준 우려에 따른 미 채권금리 추가 상승이 우려되며 여전한 금리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