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범닫기

고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디캠프에서 핀테크업계 및 유관금융회사 관계자들과 '핀테크산업 혁신지원 감담회'를 열고 핀테크 산업 육성 기본 방향 및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망분리는 해킹 등 전자적 침해를 막기 위해 금융회사와 전자금융업자의 업무망과 인터넷망 분리를 의무화하는 정책이다. 그간 핀테크업계는 망분리와 클라우드 서비스 규제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며 규제 완화를 요구해왔다.
이용자예탁금 외부예치 등의 제도 개선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했다. 고 위원장은 머지포인트 사태를 언급하며 “선불전자지급수단 이용 증가에 따라 제기되고 있는 이용자예탁금의 안전한 관리 문제를 개선해 이용자가 안심하고 간편결제의 편의성을 누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온라인 비대면 금융서비스 확대에 맞춰 소비자 보호가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온라인·비대면 성격에 맞는 영업행위 규율체계를 마련하겠다”며 “대형 플랫폼 등장에 따른 데이터 독점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도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금융회사와 핀테크 간 제휴 협력과 기존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고 위원장은 “우선 금융회사의 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와 제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새로운 금융혁신을 테스트하고 안정적으로 상용화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가 적극 활용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은 “핀테크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기존 금융권도 신규 서비스의 안정성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D-테스트베드 운영을 확대·개편해 샌드박스와 부수업무 승인 등 절차와 적극적으로 연계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혁신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고 위원장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보호 원칙은 지켜나가되, 맞춤형 비교·추천 등 혁신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술 진화에 맞게 개선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또 지급결제 분야의 혁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적극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에 본격 출범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개인별 맞춤형 ‘데이터 저장ㆍ관리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공공 데이터 등 정보제공 범위도 적극 확대하겠다”며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정보주체의 인증ㆍ접근절차도 간소화하는 등 편의성을 보다 높이고 안정성도 더욱 확보하겠다”고 부연했다.
고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검토해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들을 고민하겠다”며 “향후에도 핀테크 회사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