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까지 연간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 430GWh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놨다. 올해 예상 생산능력(150GWh)을 감안하면 4년 내 3배 가량 공격적인 확장을 이루겠다는 말이다.
2025년 목표치의 70%는 친환경차 육성 정책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있는 유럽(155GWh)과 미국(150GWh)에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미국에 대한 수주 및 투자 실적이 눈에 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향후 4년간 ‘그린 인프라’ 부문에 약 2조달러(약 2400조원)를 쏟아부어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잡겠다는 계획을 표명한 바 있다. 이에 발맞춰 미국 자동차제조사들도 전기차 전환 계획을 발표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이 주요 회사들과 전기차 배터리 계약을 속속 따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1일 스텔란티스와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합작법인은 연간 40GWh 규모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내년 2분기에 짓기 시작해 2024년 1분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 내 공장 부지 선정 작업이 막바지에 이르렀다.
스텔란티스는 지난 1월 이탈리아·미국 제조사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프랑스 푸조·시트로엥(PSA)이 합병해 탄생했다.크라이슬러·피아트·지프 등 총 14개 브랜드를 산하에 두고 있다. 작년 생산량 기준으로는 세계 4위, 판매량으론 6위에 해당하는 거대 자동차기업이다.
지난 7월 스텔란티스는 2025년까지 300억유로(약 41조원)을 투자해 전기차 전환에 나서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는 2025년까지 북미에서 약 50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보유할 계획이다. 북미 80%의 생산량을 LG에너지솔루션이 담당하게 되는 셈이다. 나머지 물량은 삼성SDI가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으로 미국 3대 자동차 메이커(GM·포드·크라이슬러) 가운데 2개사를 핵심고객으로 확보하게 됐다는 의미도 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를 설립하고 오하이오주 1공장(35GWh)과 테네시주 2공장(35GWh)을 설립하기로 했다.
남은 2025년 목표치가 35GWh 수준인 만큼 1조원 수준의 추가적인 투자도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자체 투자와 합작사 등 다양한 방안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가장 빠르게 생산능력을 키워왔던 유럽에서도 현재 미국과 맞먹는 대규모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폴란드 전기차공장 생산능력은 작년 기준 70GWh 수준이다. 목표치(155GWh)를 감안하면 4년 내 2배 이상 확장을 계획하고 있는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래 시장으로 꼽히는 동남아시아 공략에도 만전의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 7월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인도네시아에 10GWh 규모의 배터리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동남아시아는 경제 성장률이 높고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데 익숙한 저연령층 인구가 많아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는 미래 시장이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진출이 유리한 지리적 이점과 정부 차원에서 전기차 육성을 위해 관련 산업에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배터리사의 약점으로 꼽히는 원자재 확보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의 매장량과 채굴량이 모두 세계 1위다.
글로벌 각지에서 예정된 투자에 필요한 자금은 연내 기업공개(IPO)를 통해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논란이 됐던 쉐보레 볼트 전기차 리콜 비용을 분담하기로 합의하면서 우려를 잠재웠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