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노형욱 장관)는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총 1만5660가구로 집계됐으며 전월(1만5798가구) 대비 0.9% 감소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작년 동월 3만3894가구와 비교하면 53.8%나 줄어든 것이다.
특히 5월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303가구로 지난 4월보다 18.0%나 줄어들었다. 반면 지방은 1만4357가구로 지난달 1만4209가구에서 148가구 증가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9235가구로 전월 9440가구 보다 2.2% 감소했다. 이는 건물이 완공되고 나서도 주인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악성 미분양이라고도 불린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573가구로 전월(629가구) 대비 8.9%(56가구) 감소했다. 85㎡ 이하는 같은 기간 1만5169가구에서 1만5087가구로 0.5% 줄었다.
전국 미분량 주택은 2016년 5만6431가구, 2017년 5만7330가구, 2018년 5만8838가구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9년 4만7797가구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어 지난해 1만9005가구로 뚝 떨어졌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공공재개발이 지연되고 LH 임직원 부동산 투기 사태로 공공주도 공급에도 차질이 생겼다”며 “집값도 상승해 청약에 ‘로또’라는 수식어도 붙었다. 이에 미분양 물량이 빠르게 소화되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